[축구] 눈물의 '서바이벌 게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1면

가만히 있어도 땀이 줄줄 흘러내리는 여름 한낮.숨이 턱턱 막히는 땡볕 아래 맨땅에서 풀썩풀썩 일어나는 흙먼지를 삼키며 그들은 싸웠다.

13일 경남 통영시 공설운동장에서 열린 국민은행과 강릉시청의 전국실업축구선수권대회 결승전은 두 팀 모두 반드시 이겨야 할 '서바이벌 게임' 이었다.

사연은 달랐지만 절박함의 무게는 어느 쪽에도 기울지 않았다.

1993년과 96년 이 대회에서 우승했던 국민은행은 97년 국제통화기금(IMF) 관리체제의 여파로 팀이 해체됐다가 올해 재창단됐다.

지난해 5월 사내 노동조합을 중심으로 "직원들의 사기를 살리기 위해서라도 전통 명문인 축구팀을 살려야 한다" 는 움직임이 시작됐다.

8천여명의 직원이 서명운동에 동참했고 급여중 월 2천~3천원을 공제해 축구팀 운영기금을 마련했다.

이렇게 해서 올 1월 재창단 깃발을 올리자 흩어졌던 선수들이 하나둘 모여들었다. 젊은 선수들에게 밀려났던 안양 LG의 백형진.박효빈 등 프로 출신 8명도 합류했다.

이렇게 모인 선수들은 숙소도, 훈련장도 없는 환경에서도 축구를 다시 할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 충분히 행복했다.

송명원 감독은 "우승하면 숙소도 마련하고 선수도 보충할 수 있을 것" 이라며 반드시 이겨야 할 이유를 밝혔다.

강릉시청은 지난해 이 대회 결승에서 호화군단 상무에 0 - 1로 분패했지만 '공포의 외인구단' 으로 신선한 감동을 남겼다.

오갈 데 없는 '축구 실업자' 들이 똘똘 뭉쳐 무서운 힘을 보여준 것이다.

강릉시장이 발령낸 '촉탁 임명사원' 의 신분으로 평균 1천3백만원의 연봉을 받는 선수들에게는 '축구만 잘 하면 정식 직원이 될 수 있다' 는 희망이 있다.

올해만 해도 6명이 정식 직원으로 발령받아 명예롭게 축구화를 벗었다.

박문영 감독은 "오는 22일 축구팀 후원회 창립총회 단상에 우승컵을 올려놓겠다" 고 말했다.

두 팀에는 무명선수들을 끌어모아 팀 창단 57년 만에 처음으로 지난달 실업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한 한국철도의 '축구 승리' 도 큰 자극이 됐다.

경기는 선상영이 결승골을 넣은 강릉시청의 1 - 0 승리로 끝났다.

그러나 승자만 있었지 패자는 없었다. 그들은 모두 살아남았다. 새로운 서바이벌 게임에 도전해야 하기 때문이다.

정영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