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김정일 쇼크 그 이후] 독일은 어떻게 했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전문가들은 이념적 충격을 줄이기 위해 독일이 통일 과정에서 기울인 노력을 참고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독일은 통일(1990년) 20여년 전부터 체제가 아닌 민족에 중점을 둔 교육을 실시했다.

서독은 60년대부터 정치교육법을 제정, 통일대비 교육을 제도화했다.

특히 63년 내무부 산하에 연방정치교육센터를 설립, 통일교육의 목표설정.재정지원.교재교육용 매체개발 등을 실시했다.

이 센터에서는 독일의 역사.정치.경제를 담은 '정치교육을 위한 정보' 라는 격월간지 1백여만부를 간행하는 등 대중매체를 통한 교육에 힘썼다.

정규 학교교육 이외 시민대학.교회.노동조합 등 다양한 민간사회단체가 중심이 돼 세미나.강연회 등을 열어 국가교육에서 결핍된 점을 보충했다.

70년대 이전 동.서독 교과서는 서로 상대 체제가 반사회적.비인도적이라고 비난하고 있었다.

그러나 72년 양국이 동등한 입장에서 상호관계의 발전을 모색하자는 기본조약 체결을 한 후 비방적 내용은 대부분 삭제됐다.

78년 11월 23일 통일의지를 학생들에게 심어주는데 학교가 기여해야 한다는 인식 아래 문교부 장관회의에서 15개항의 '독일문제에 대한 교육지침서' 를 마련, 체계적이고 본격적인 통일 교육을 시작했다.

이 지침서는 통일이 가까운 장래에 달성될 수 없으므로 이데올로기 대립은 삼가야 한다는 점을 전제 조건으로 삼았다.

동독인들도 동.서독이 같은 민족임을 수업 시간에 알렸다.

민족통일연구원 황병덕(黃柄悳)박사는 "독일이 통일교육을 통해 이념의 대립을 줄일 수 있었던 것은 동질성과 민주주의'자체'를 강조했기 때문" 이라고 밝혔다.

박현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