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도 기술·규모 천차만별 …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 만들어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7면

한국산학연협회가 주최하고 중앙일보와 중소기업청이 후원하는 ‘산·학·연 협력 발전 정책포럼 2009’ 행사가 25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렸다. 기술이 필요한 중소기업 등 산업계와 대학·연구소를 연계하는 산·학·연 협력 사업의 성과를 점검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서다. 포럼에는 김광선 한국산학연협회장과 정장선 국회 지식경제위원장, 정영태 중소기업청 차장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김광선 회장은 인사말에서 “우리나라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대기업뿐 아니라 혁신적인 기술 능력을 갖춘 중소기업이 더 많이 나와야 한다”며 “산·학·연 연계 시스템은 대기업 중심의 국가 경제발전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라고 말했다.

주제 발표를 한 한성대 나도성 지식서비스·컨설팅 연구원장은 “산·학·연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중소기업의 분류를 세분해 맞춤형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기술과가치 임윤철 대표가 산·학·연 협력 사업의 성과와 만족도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대학·연구소·기업 등 산·학·연 협력 참가자들은 기술 개발과 연구 역량 강화에는 큰 도움을 받았다고 보지만, 기술이 실제 사업으로 연결돼 매출까지 연결되지는 못했다는 응답이 많았다.

주제 발표에 이어 산·학·연 협력의 과제와 개선 방안에 대한 패널들의 제언과 토론이 이어졌다.

나경환 생산기술연구원장은 “같은 중소기업이라도 매출 수억원에서 수천억원까지 차이가 나며, 기술 수준과 성장 단계별로도 격차가 크다”며 “이런 특성을 정교하게 분석해 맞춤형 기술 지원을 해야 투입 대비 효과가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방주 한국과학기자협회장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구분될 필요가 있다”며 “대기업은 중장기적인 미래 신기술 위주로, 중소기업은 당장 개발에 어려움을 겪는 기술 위주로 산·학·연 협력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안윤정 여성경제인협회장은 “개별 중소기업의 애로도 중요하지만 여러 중소기업들이 함께 혜택을 볼 수 있는 공동 과제에 지원을 집중하면 효과가 클 것”이라고 제언했다. 전남대의 이병택(신소재공학) 교수는 “중소기업은 늘 인재에 목말라하고 대학은 학생들의 취업에 신경 쓴다”며 “산·학·연 협력 프로그램을 만들 때 이런 인력 수급 문제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으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승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