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낙천명단 정가반응] "객관성에 문제" 여야 불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총선시민연대의 공천반대 2차 리스트(47명)에 들어 있는 당사자들은 "억울하다" 고 반발했다. 해명과 반발은 1차 발표 때보다 공세적이었다.

민주당조차 "옥석은 가려져야 한다" 고 나서 적극적 수용의사를 표시한 1차 발표 때와 달랐다. 자민련은 시민단체를 이끌고 있는 인사들의 전력조사에 나서겠다며 맞불작전을 펼쳤다. 하순봉(河舜鳳)총장이 명단에 들어간 한나라당도 음모론에 가세했다.

◇ 민주당〓정동영(鄭東泳)대변인은 "객관성과 공정성 측면에서 모호한 부분이 있다" 며 "억울한 사람이 없도록 당이 검증에 나설 것" 이라고 말했다.

이종찬(李鍾贊)고문.정대철(鄭大哲) 전 의원.김태식(金台植)의원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한 논평까지 냈다.

비리혐의로 명단에 올라간 엄삼탁(嚴三鐸) 전 병무청장.최낙도(崔洛道) 전 의원은 "무리하고 끼워 맞춰진 수사에 희생됐다" 고 주장했다.

경성비리로 1심재판에 계류 중인 정대철 전 의원은 "사법부가 판단을 내리지 않은 상태에서 어떻게 시민단체가 맘대로 결정하느냐" 며 "시민단체가 사법부 위에 군림하느냐" 고 불쾌해했다.

국보위 참가경력으로 명단에 들어간 이종찬 고문은 "전 생애를 의회민주주의를 위해 애썼다" 고 말했다.

◇ 자민련〓 "불법활동엔 관심이 없다" (李漢東총재권한대행)고 외면했다. 이규양 부대변인은 "선관위가 위법판정하고 검찰도 실정법 위반이라고 지적한 상황 속에 시민단체의 거듭된 불법행위는 일고의 가치가 없다" 고 논평. 자민련은 "총선연대의 주도멤버들이 보안법 철폐, 주한미군 철수를 주장하던 운동권 출신들이 많다" 고 주장하면서 색깔논쟁을 제기할 태세다.

이번엔 허문도(許文道) 전 통일원장관.최환(崔桓) 전 대전고검장 등 2명밖에 포함되지 않았다.

◇ 한나라당〓3당 중 가장 많은 인사(27명)가 들어있는데 대해 분통을 터뜨렸다. 한보로부터 돈을 받았다는 이유로 명단에 오른 河총장은 "같은 진주 출신인 정태수 회장이 선거 후 후배인 나에게 정치자금을 준 것이며, 검찰수사에서 대가성이 없는 것으로 무혐의 처리됐다" 고 반박했다.

공금유용 혐의로 들어간 김만제(金滿堤) 전 부총리는 "원래 기밀비(포철회장 시절)는 영수증 처리를 하지 않는 것" 이라며 "표적사정에 걸린 것" 이라고 항변했다.

이사철(李思哲)대변인은 "추가발표를 보고 총선연대가 권력의 눈치를 보고 있으며 DJ의 정치권 물갈이에 이용되고 있는 게 아니냐는 강한 의혹을 품게 됐다" 고 주장했다.

李대변인은 그러면서 "민주경선에 불복한 이인제.이만섭.박범진.김학원씨 등 민주주의 파괴자들이 포함되지 않은 것을 어떻게 설명할 것이냐" 고 불만을 표시했다.

◇ 기타〓장세동(張世東)전 안기부장은 "역사가 더이상 폄훼돼서는 안된다" 고 불쾌하다는 반응을 보이며 "정치활동에 관한 어떤 의사표시도 한 일이 없다" 고 말했다.

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