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구 '통폐합 통합' 과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국회의원 지역구 의석 지도가 드러났다. 갑·을로 분구돼 있는 46개 선거구가 23개로 묶이는 등 여러 부분이 바뀌었다. 국회 선거구획정위가 이미 인구 상하한선(9만~35만명)에 따라 27일 구체적인 선거구 조정을 마무리한 것이다.

◇ 예외없는 결정〓획정위는 우선 갑·을을 합쳐도 인구 상한선인 35만명에 미달하는 선거구를 모두 통합키로 확정했다. 예외조항을 두지 않기로 한 원칙을 적용, 관철한 것이다. 때문에 민주당측이 이날 낮까지 현행 유지를 강력히 주장한 전남 여수갑·을도 하나로 합쳤다.

민주당은 1996년 총선 이전 도농(都農)통합이 이뤄진 다른 7개 지역과 달리 98년 4월 도농통합이 이뤄진 이곳에 대해 이번 선거만큼은 빼달라고 요청했으나 7인위원은 표결을 통해 6대1로 거절했다.

이들 통합대상 선거구에 해당하는 현역의원들은 획정안이 국회를 통과할 경우 이웃 선거구 의원들과의 치열한 공천경쟁이 불가피해졌다.

해당하는 의원수는 한나라당이 24명으로 가장 많다. 민주당은 15명, 자민련은 5명. 한나라당이 가장 큰 손해를 보게 된 셈이다.

특히 한나라당의 경우 하순봉(河舜鳳)사무총장이 경남 진주에서 김재천(金在千)의원과 교통정리를 해야 하는 등 10개 선거구에서 한 집안 현역끼리 공천경쟁을 벌일 상황을 눈앞에 두게 됐다.

민주당은 통합되는 5곳에서 같은 당 의원들끼리 경쟁을 벌이게 됐다. 전북 익산의 경우 3선의 이협(李協.을)의원과 동교동계 핵심인 최재승(崔在昇.갑)의원이 합쳐지는 상황을 맞았다.

3당 중 자민련은 유일하게 선거구 통합으로 인해 같은 당 의원끼리 부딪치는 곳이 하나도 없다.

한나라당이 9만~35만명 안에 대해 위헌시비를 제기하며 강력히 반대하는 속사정도 이 때문이다.

22개 통합선거구를 권역별로 나눠봐도 마찬가지다. 영남권이 11~12곳으로 가장 많았고, 호남 8·수도권 4·강원4·충청 4곳의 순이어서 이대로 획정안이 확정된다면 한나라당은 앉아서 의석수 감소를 감수해야 할 판이다.

게리맨더링(기형적인 선거구 조정)도 철저히 배격했다는 것이 획정위의 설명이다. 이런 원칙은 민간위원들의 강력한 요구로 관철됐다.

◇ 막판 조율〓반면 선거구 획정작업은 밤늦게까지 진통을 계속했다. 인구 하한선인 9만명에 미달하는 13개 선거구를 어떻게 조정하느냐는 문제 때문이었다.

가령 인구 8만7천명인 경북 청송-영덕의 경우 청송-영양-봉화로 합치느냐, 아니면 울진-영덕 조합으로 하느냐에 따라 여야의 운명이 갈린다.

민주당이 동진정책의 진원지로 삼고 이곳에 김중권(金重權)전 청와대비서실장을 내보내기로 했기 때문이다.

◇ 인구하한선 미달지역 = 농촌지역 의원들이 대거 선거구를 잃었다.

괴산 (金宗鎬) 은 진천 - 음성에, 공주 (鄭石謨) 는 연기에, 서천 (李肯珪) 은 보령과 통합됐다. 임실 - 순창 (朴正勳) 은 남원 (순창) 과 완주 (임실) 로, 곡성 - 구례 (梁性喆) 는 장성 - 담양 (곡성) 과 광양 (구례) 으로 각각 분리, 흡수됐다. 두개 선거구인 목포 - 신안은 목포를 독립시키고 신안을 무안과 합쳤다.

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