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검찰 ‘의원숫자' 엇갈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정치인들의 병무비리 관련 혐의를 둘러싸고 정치권·검찰·국방부의 말이 엇갈리고 있다.

김대웅 대검중수부장은 21일 "현재 현역의원 비리와 관련된 자료를 갖고 있지 않다" 고 말했다.

임양운 서울지검 3차장 역시 "지난해 국방부로부터 수사의뢰를 받은 명단 중 현역의원은 1명뿐" 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정치권에선 반부패 국민연대가 확보하고 있다는 21명의 정치인 명단이 나돌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구여권 인맥이다.

이미 병역문제로 홍역을 치른 한나라당 K.N.S.L.P.J의원 등 13명이 포함돼 있다.

이에 따라 여권에선 "자칫 야당에 대한 '표적사정' 이라는 비난이 일 수 있다" 며 시민단체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다.

국방부가 검찰에 수사의뢰한 정치인 숫자도 말이 다르다.

검찰은 1명뿐이라고 하나 여권 관계자는 "지난해까지 정치인·고위공직자 38명의 명단이 통보된 것으로 안다" 고 말했다.

이들에 대한 수사를 둘러싸고 검찰과 군 수사당국이 마찰을 빚었다는 얘기도 들린다.

한 관계자는 "지난해 4월께 청와대 P비서관이 주재한 술자리에서 병무비리와 관련해 군 수사팀과 서울지검 수사팀이 말다툼을 벌이다 몸싸움까지 벌였다" 고 전했다.

그 직후 고검장급(차관급)인 K씨 아들의 병역면제 문제가 언론에 보도돼 결국 사표를 냈다는 것.

일각에선 "군 수사팀이 흘린 것 아니냐" 며 양쪽의 갈등이 상당했음을 시사했다.

그래서 정치권 일각에선 병무비리 문제와 별도로 군 수사팀이 외압을 받아 사건을 축소했는지, 외압이 있었다면 그 실체는 무엇인지 조사해야 한다는 주장도 대두되고 있다.

"국방부 검찰부가 병무비리를 은폐·축소해 왔다" 며 구체적 자료와 증인을 확보중인 국민연대의 움직임은 이래저래 총선 정국의 기상도를 바꿀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이양수.최재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