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경제 빠른 회복불구 체감경기는 아직 썰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올해 울산지역 경기는 수치상으로는 좋아졌지만 시민들이 느끼는 체감경기는 여전히 썰렁하다.

경기가 회복되도 임금이 많이 깎였고 고용불안에다 소득에 비해 소비가 늘었기 때문이다.

울산시는 28일 "제조업체 가동률이 89.5%로 95년 이후 최근 5년 새 최고를 기록하는 등 지역경제가 IMF이전 수준으로 회복됐다" 고 밝혔다.

이는 IMF이전인 97년 81.3%보다 8.2%포인트, 지난해 72.9%보다 16.6%포인트 각각 높다.

울산.온산국가공단 생산규모도 11월말까지 42조6천5백여억원. 97년 같은 기간의 40조2천6백50여억원보다 5.9%가 늘었다.

'

올들어 문을 연 회사는 6백60개로 같은 기간 부도업체 97개보다 7배 가까이 된다. 어음부도율도 0.12%로 97년 0.71%, 지난해 1.12%보다 크게 낮아졌다.

'

이로 인해 실업자 수는 지난 3월 4만2천 명에서 11월 1만8천 명(실업률 3.9%)으로 줄었다.

'

소비자 물가는 지난달 말 1.4%로 97년 6.3%.98년 5.1%보다 안정됐다. 그러나 시민들이 느끼는 경기 체감지수는 더 나빠졌다.

울산지역의 올 3.4분기 월평균 실질소득은 1백89만7천원. IMF이전인 97년 같은 시기 2백20만2천원보다 14% 정도 줄었다.

소득은 지난해보다 7.8% 늘었으나 지출은 17.1%로 소득보다 지출이 더 많아 가계부담이 커졌다.

허상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