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 구상 흔들기 野 다시 강공나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한나라당 내에 대여(對與) 강공 기류가 힘을 얻어가고 있다.

각종 의혹 사건으로 조성된 '사건 정국' 을 연장해 여권을 좀더 밀어붙이자는 생각 때문이다.

하순봉(河舜鳳)사무총장은 8일 "여권은 모든 문제를 연내에 털어버리려는 의도지만 여권의 정치일정에 박자를 맞출 필요가 없다" 고 말했다.

그는 "사건 정국이 어느 정도 마무리돼 'DJT 연쇄회동' 이나 '신당 움직임' 등에 국민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며 "여권의 정국구도에 끌려가면 곤란하다는 의견이 많다" 고 당내 분위기를 전했다.

이날 열린 총재단.주요 당직자회의에선 이 문제가 깊이있게 다뤄졌다.

특별검사제법 개정안.정형근(鄭亨根)의원 문제 등 현안에 대해 당이 단호한 모습을 보여야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그래서 한나라당은 이날 파상적인 대여 공세를 재개했다.

먼저 검찰의 파업유도 공작을 기정사실화한 논평이 쏟아졌다.

조폐공사 파업유도 수사에서 대전지검의 문건이 공개된 것과 관련, "검찰 업무의 한계를 벗어난 것" (李思哲대변인), "검찰은 검은 음모의 사령탑" (張光根부대변인)이라는 거센 비난을 퍼부었다.

노조 전임자 임금 문제를 둘러싼 노.정 갈등을 확대시키려는 쟁점별 공세의 일환이었다.

한나라당이 현안에 대한 공격을 강화하는 이면에는 전략적으로 "선거법 협상을 서두르지 않는다" 는 방침이 세워졌기 때문이다.

정창화 정책위의장은 "선거법 협상에서 아쉬운 것은 여당" 이라며 "우리는 현행 제도 고수가 최선" 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이부영(李富榮)총무는 이날 총무회담에서 공세적인 모습을 보였다.

여권의 '도시는 중선거구.농촌은 소선거구' 라는 복합 선거구제안에 "일고의 가치가 없다" 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청와대 법무비서관을 민간인으로 임명토록 하자고 요구하는 등 옷 로비.조폐공사 파업유도 사건의 재이슈화를 시도했다.

河총장은 "선거법 협상에 지연 전술로 나갈 경우 결국 국민회의와 자민련이 분열되는 결과가 나타날 것" 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여권이 이중입후보제나 복합선거구제를 주장할수록 정치 일정만 헝클어질 것" 이라고 말했다.

최상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