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장비 구입가 들쭉날쭉…수의계약후 최고 27% 차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서울 시내 소방서들이 똑같은 장비를 구입하면서 최고 1백32만원까지 단가가 차이가 나는 등 예산 운영에 대한 감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서울시의회 김수복(金洙福.관악.국민회의)의원은 "최근 3년간 서울시내 19개 소방서의 장비 구입 현황을 비교한 결과, 동일 제품의 납품가격이 최고 27%까지 차이가 나는 등 세금이 낭비되고 있다" 고 주장했다.

金의원은 "지난 3년간 소방서들이 21억8천5백만원 상당의 장비를 수의계약 형식으로 구매하면서 조달청을 통한 단가계약이나 일반 경쟁입찰에 비해 터무니 없이 높은 가격을 지불했다" 고 말했다.

서울 노원소방서는 지난 6월 공개경쟁입찰을 통해 통신용 구조경보기를 5백43만8천에 구입했으나 종로소방서는 똑같은 장비를 수의계약으로 1백32만원이나 비싼 6백76만7천원에 구입했다.

짙은 연기속에서 물을 살포할 때 쓰는 연기투시겸용 관창(65m)도 구로소방서의 경우 조달청을 통해 지난 6월 60만4천3백96원에 구입한 반면 양천소방서는 똑같은 품목을 수의계약으로 35만원이나 비싼 85만8천에 사들였다.

金의원은 "지난 97년부터 일부 소모성 장비에 대한 구매방식이 소방방재본부의 일괄구매에서 각 소방서의 개별구매 방식으로 바뀌면서 수의계약이 남발되고 있다" 고 지적했다.

서울시내 19개 소방서를 관할하는 서울시 소방방재본부 관계자는 "지난 3년간 소방방재본부의 장비 구매 예산 2백45억5천만원 중 수의계약 형식으로 지출된 것은 9%뿐" 이라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앞으로 소방방재본부에서 일괄적으로 장비를 구매해 예산이 낭비될 소지를 줄여 나가겠다" 고 답변했다.

성시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