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순환도로 예산없는 '말잔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정부가 예산도 확보되지 않은 사업.정책을 총선 등을 의식해 크게 홍보하는 일이 적잖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거꾸로 구체적인 사업계획 등이 마련되지 않은 사업에 예산을 미리 배정하는 사례도 확인되고 있다.

◇ 예산없는 정책 발표〓노동부는 지난 8월 20일 대통령의 8.15 경축사에 대한 후속 조치로 '인력개발타운' 을 부산.광주.인천에 세운다고 발표했다.

특히 3백60억원이 들어가는 부산은 내년에 설립한다는 구체적인 계획도 포함돼 있었다. 그러나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예산안에는 이 내용이 전혀 반영돼 있지 않았다.

또 서울시는 지난 7월 강남순환도로 건설계획을 대통령의 서울시 방문때 발표했다. 그러나 강남지역 34.2㎞에 걸쳐 99년부터 2005년까지 2조6백억원이 들어가는 이 계획은 정확한 교통수요 조사.노선타당성 조사 등을 제대로 거치지 않은 상태다.

특히 서울시의 담당부서에서는 내년예산에 1백63억원을 요청했으나 서울시의 예산부서에서는 "시 재정상 절반액수도 무리한 요구" 라는 입장이다.

익명을 부탁한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정권에 비판적인 서울 강남 주민들의 교통난 해소를 위해 정부가 무언가 하려 한다는 인상을 주려는 의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고 말했다.

울산시 국립공업역사박물관도 비슷한 사례다. 이 사업은 지난 6월 행정개혁보고회때 대통령에게 보고하면서 구체화되기 시작했다.

총 부지 36만여㎡에 2008년까지 만들어질 이 박물관을 세우는 데 들어가는 비용은 2천6백억원. 그러나 지금까지 확보된 예산은 기본계획 수립비 8억원뿐이다.

이마저도 정부측에 '대통령에게 보고한 사업' 이라고 읍소해 겨우 확보한 것이라고 울산시 공무원들은 말했다.

◇ 예산부터 배정 사례〓산업자원부는 내년도 예산에 군장(群長)수출자유지역개발을 위한 토지매입비 명목으로 1백9억원을 배정했다.

그러나 군장지구는 아직 수출자유지역으로 지정되지 않았다. 올 정기국회에서 제조업 중심의 수출자유지역에 물류.서비스업을 포함한 자유무역지역으로 확대하기로 하고 관련법안이 상정돼 있는 상태다.

총선등과 관련, 내년 중 이뤄질 자유무역지대 선정을 기정사실로 하고 미리 예산을 배정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남해안 관광벨트사업도 비슷한 사례. 남해안을 부산도시관광권, 해양레저.스포츠관광권, 종합휴양관광권, 역사문화관광권 등 4개 권역으로 특화 개발하자는 이 계획에 우선 내년 중 5백억원의 예산투입이 예정돼 있다. 2011년까지 4조원이 투입돼야 한다.

그러나 구체적인 사업계획 용역을 노무라연구소에 의뢰, 시행 중인데 아직 결과조차 나오지 않은 상태다. 이 사업에 대한 국고지원 비율조차 결정하지 못한 채 우선 사업을 벌이기로 한 셈이다.

지역특화사업 지원도 그렇다. 산자부는 지역균형개발이라는 명목으로 내년 예산에 부산 신발산업, 경남 기계산업, 광주 광(光)산업, 대구 섬유산업 등에 1천2백억원을 편성했다.

그러나 구체적 사업개요도 나오지 않은 상황이다. 초기 예산만도 이 정도인데 앞으로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무한정 예산이 들어가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용택.고대훈.김동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