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베를린 협상 타결이후] 中. 힘실린 포용정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북.미간 베를린 협상 타결로 우리 정부의 대북 포용정책에도 힘이 붙었다.

포용정책의 실무 사령탑인 임동원 (林東源) 통일부장관은 14일 "동북아 대량 살상무기 해체와 북.미 관계 개선이란 여정 (旅程) 의 출발점에 섰다" 고 의미를 부여했다.

무엇보다 남북관계도 "다시 기지개를 켤 때가 왔다" 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현 정권 출범과 함께 '한반도 냉전 (冷戰) 해체' 라는 원대한 목표를 갖고 출발한 포용정책은 올들어 서해 교전사태와 금강산 관광객 억류사건으로 우여곡절을 겪었다.

금창리 지하 핵 (核) 의혹시설 문제가 풀리는가 했더니, 뒤이어 대포동 2호 재발사 문제가 발목을 잡았다.

베이징 (北京) 남북 차관급 회담조차 결렬되자 정부의 통일정책 담당자들은 내심 가슴졸여왔다.

이제 미사일 모라토리엄 (발사유예) 과 경제제재 완화를 맞바꾼 베를린 협상의 유화적 분위기에 남북관계도 휩싸일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북한을 대화로 끌어들이는 페리 보고서의 로드맵 (길잡이)에 한국만 예외일 수 없다" 고 강조했다.

정부의 이런 믿음에는 포용정책 추진으로 북한에 대한 우리의 영향력이 두드러지고 있다는 자신감이 깔려 있다.

북한이 겪고 있는 세가지 어려움 (식량.에너지.달러) 중 미국이 식량 (올해 60만t) 과 중유 (重油.94년부터 한해 50만t) 를 지원하고 있다면 달러는 우리 몫이다.

금강산 관광 대가로 지난해 11월~올 8월말 북한에 송금된 달러는 1억7천4백만달러 (2천80억원 상당) . "북한이 돈맛을 알기 시작했다" 고 우리측은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이 미국과의 접근에만 비중을 두는 이른바 '통미봉남 (通美封南)' 의 상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정부 내부에 있다.

"미사일 모라토리엄은 현재의 위협을 일시 중지시킨 상태인 만큼 성급한 낙관은 곤란하다" 는 지적이다.

북한의 태도 돌변이나 미 의회의 대 북한입장 강경 선회 등이 남북관계의 장래를 막는 요인으로 등장할 수 있다.

서해 연평해전 같은 암초 (暗礁)가 돌출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남북화해로의 큰 물줄기는 가닥을 잡은만큼 '쉽게 바뀌지 않을 것' 이라는 게 정부의 확신이다.

정부는 이런 기세를 몰아 남북회담 정례화와 기본합의서 (92년 2월 발효) 이행체제를 갖추는 데 주력할 작정이다.

장기적으로 포용정책과 한.미.일 3국의 대북 포괄접근을 적절히 조화시켜 한반도 평화정착의 틀을 다질 생각이다.

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