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 신설 반부패특위 위원장 인선안에 고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은 신설되는 반부패특위 위원장 인선안을 얼마 전에 보고받았다.

그러나 金대통령은 잠시 서류를 보고는 "좀 더 사람을 찾아보라" 고 지시했다고 한다.

그만큼 자리의 중요성을 의식하고 있기 때문이란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金대통령은 이번 달 안으로 반부패특위 위원장을 비롯해 대법원장.감사원장.헌법재판관 인사를 단행한다.

윤관 (尹관) 대법원장의 임기가 24일로 끝나고 한승헌 (韓勝憲) 감사원장도 정년이 28일이다.

조승형 (趙昇衡) 헌법재판관 역시 25일로 정년이며 다음달로 대법관 3명의 임기가 만료된다.

정기국회에서 인권법이 통과되면 인권위원장도 임명해야 한다.

모두 국가 법질서 확립의 향방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자리다.

규모도 커 실무진으로서는 전체 구도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고 한다.

지역, 법조와 비법조, 재조와 재야, 검찰과의 균형 등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에는 감사원장과 반부패특위 위원장을 비법조인 중에서 임명하자는 게 정책기획수석실 등의 전반적인 분위기라고 전해진다.

한 관계자는 "감사원의 기능이 사정 (司正) 중심에서 공공기관 등의 경영상태 감사 등으로 옮겨가는 현실을 감안, 경영마인드를 가진 학계나 경제관료 출신을 선호하는 견해가 많다" 고 말했다.

이와 관련, 다른 관계자도 "그 때문인지 국민회의 관계자가 얼마 전 조승형씨를 감사원장에 천거했으나 金대통령은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고 전했다.

현재까지 감사원장에는 趙대법관과 이세중 (李世中) 변호사가 거명돼왔다.

그러나 비법조인 중에서는 아직 이렇다할 이름이 나오지 않고 있다.

한승헌 감사원장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후임 감사원장은 공직기강을 확립하고 국정개혁을 추진할 수 있는 사람이 돼야 한다" 고 말한 바 있다.

반부패특위 위원장은 비호남 출신의 비법조인을 물색 중이다.

때문에 손봉호 (孫鳳鎬) 서울대 교수 등 시민단체 활동을 벌이는 학계 출신이 거명되고 있다.

그러나 金대통령은 시민단체 출신의 부각이 최근 '충분할 정도' 로 두드러졌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金대통령은 반부패특위 위원장은 뉴질랜드 방문 (10일) 이전에, 대법원장.감사원장 등은 귀국 (18일) 후인 20일께 인사를 단행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연홍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