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암 엇갈리는 '분쟁의 땅'] 평화 깃드는 아랍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지난 7년간 군사정권과 반정부 이슬람 원리주의자 사이의 치열한 내전으로 약 10만명이 희생된 아프리카의 알제리에서 최근 압델라지즈 부트플리카 대통령은 대사면 조치를 위한 국민투표를 오는 9월 16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6월 최대 반정부 무장단체인 이슬람 구국군 (AIS) 이 무장해제를 선언한 것에 대한 화답이다.

온건노선의 연합후보로 지난 4월 대통령에 당선된 부트플리카는 살인.강간.폭파범을 제외한 모든 죄수들의 방면 및 감형을 위한 이 계획이 좌절될 경우 대통령직에서 물러설 각오까지 비췄다.

지난 1일부터 사우디아라비아의 지다에서는 알제리.이집트.요르단.시리아.예멘.이집트 등 아랍국 법무.내무장관들이 모여 이 지역 평화를 위한 공동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지난 5월부터 시행된 아랍국 반테러 협약의 구체적 지침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협약 서명국은 테러범에 피난처를 제공하거나 테러범의 통과를 허용할 수 없다.

테러활동에 대한 정보교환과 테러 용의자의 송환도 의무적이다.

현재 22개 아랍연맹 가입국 중 8개국이 비준한 상태. 한편 이 회의의 개막에 앞서 사우디아라비아의 왕세자 압둘라 빈 압델 아지즈는 이라크의 법무장관을 포함한 회의 참가자들을 만났다.

이라크의 91년 쿠웨이트 침공 이후 사우디 왕세자가 이라크의 각료급 인사를 처음으로 만난 것이다.

김정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