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 신도시 주변 아파트 2만가구 들어선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일산 신도시 주변에 아파트 건립붐이 일고 있다.

지금까지 준농림지 개발을 최대한 억제했던 고양시가 최근 대화.가좌.식사.풍동 일대 준농림지 개발기준을 완화, 대단위 아파트 단지조성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주택업체들은 앞다퉈 준농림지를 매입, 아파트 사업을 추진중이다.

현재 이 지역에 아파트사업을 계획중인 업체는 20여개사로 건립 가구수만도 2만여 가구로 추산되고 있다.

개발기준 완화로 이 일대 땅값이 크게 올라 평당 50만~80만원하던 준농림지가 1백만~1백50만원선으로 뛰었다.

규제가 풀리지 않은 지역도 평당 10만~20만원 가량 상승했다.

◇ 아파트사업 러시 = 개발규제가 풀린 가좌지구에는 LG건설 등 2개사가 4만평의 준농림지를 매입, 사업계획을 짜고 있으며 대화지구에는 한라.일신건영 등 5개사가 주택사업을 추진 중이다.

풍동일대는 7개사가 주택사업을 추진 중이었으나 고양시가 '택지개발지구로 지정될 곳' 이라며 5개사의 사업을 반려했다.

이미 분양을 마친 2개사는 사업추진에 큰 차질을 빚게 됐다.

현대건설은 규제가 풀린 지역은 아니지만 덕이동 가구공단 일대 5만평에다 대단위 아파트 사업을 위해 지주들과 협의 중이고 태영건설은 같은 지역에서 9천평 부지를 확보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세흥공영은 덕이동 일대 1만8천평에 1, 2차로 나눠 5백70가구의 아파트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 고양시 개발계획 = 고양시는 최근 대화.가좌.식사.풍동 일대 준농림지를 준도시지역 취락지구로 지정할 수 있는 개발계획을 발표, 대단위 아파트 단지 조성이 가능하게 됐다.

취락지구로 지정되면 순수 주택부지는 3만㎡ (9천평) 이상, 건립 가구수는 3백가구 이상돼야 사업승인이 떨어진다.

학교.공원.도로 등 기반시설은 전체 개발면적의 34%선으로 이런 공공시설 부지를 빼면 순수 사업 용적률은 평균 1백30%선에 불과하다는 게 고양시 도시과 관계자의 설명이다.

시는 기반시설 확충비율이 전체 개발면적의 30%이내인 경우 용적률을 1백50%이하로 제한하고 40%이상되면 2백%까지 허용할 계획이다.

시는 원칙적으로 ^가좌지구 1백70%이하^대화지구 2백%이하, ^식사.풍지구 2백%이하로 정하되 가좌지구는 지역여건을 고려해 용적률을 조정할 계획이다.

개발계획이 수립되지 않은 지역은 지금처럼 용적률 1백%이하, 3백가구 이하의 아파트 건설이 허용된다.

◇ 땅값 동향 = 가좌동 일대는 시의 개발계획 발표 이후 땅값이 두배 가량 상승해 평당 1백만원을 호가하고 있으며 대화동은 80만~1백만원에서 1백50만원대로 껑충 뛰었다.

식사.풍동 일대도 1백만원 정도 호가하고 있으나 최근 택지개발예정지구로 묶인다는 이야기가 나돌면서 약세로 돌아섰다.

덕이동은 당초 규제가 풀릴 것으로 알려지면서 평당 70만~80만원에서 1백만~1백20만원 수준으로 올랐다가 최근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용적률 1백% 적용지역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많지만 아파트 건립이 가능한 경우 평당 70만~80만원 가량 호가하고 있다.

하지만 취락지구로 지정된 개발지역은 기반시설 확보비율이 높아 지금 땅값으로는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게 주택업체들의 분석이다.

최영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