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벨트 해제안 상수원 오염 무방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건설교통부가 연말께 전국의 개발제한구역 (그린벨트) 을 지역별로 전면 또는 부분해제할 예정이어서 4대강 수질오염 예방에 비상이 걸렸다.

한강.낙동강.금강.영산강 등 4대강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의 그린벨트가 해제될 경우 주택.음식점 등 대규모 오염원이 들어서 상수원을 더럽힐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환경단체들은 "수질오염 방지대책 등이 선행되지 않은 그린벨트 해제는 전면 재고돼야 한다" 고 주장하고 나섰다.

11일 환경부.건교부에 따르면 그린벨트 해제가 유력한 4대강 유역 면적은 모두 9백2㎢로 전체 그린벨트 면적의 17%에 이른다.

이중 가장 문제가 심각한 곳은 한강 수계인 춘천권. 팔당호 오염 예방 완충 역할을 했던 2백94㎢의 녹지가 풀리면 춘천지역에서 배출하는 각종 오.폐수가 의암호.북한강을 거쳐 결국 팔당호로 흘러들게 된다.

이 때문에 팔당호 수질 1급수 개선을 목표로 다음달부터 수도권 시민에게 물이용 부담금을 매기고 오염원 입지를 제한하는 수변 (水邊) 구역 지정.매수에 나서야 하는 환경부는 매우 난감해 하고 있다.

환경부 곽결호 (郭決鎬) 수질보전국장은 "춘천권의 경우 수변구역으로 지정할 수도 없어 팔당호 대책의 최대 '복병' 으로 떠올랐다" 며 "수질오염 영향에 대한 분석을 진행 중" 이라고 말했다.

금강 수계인 청주권, 낙동강 수계인 진주권, 새만금호 유역인 전주권에 대한 해제 여부도 변수가 되고 있다.

수질오염이 심화돼 4급수에 근접하고 있는 낙동강의 경우 환경부는 팔당식 수질개선 방법을 도입, 하반기 중 종합개선대책을 마련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진주권을 비롯해 대구.울산권의 그린벨트도 상당 부분 해제될 것으로 보여 전체 오염발생량 예측이 빗나가는 등 대책의 전면 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또 수질 악화로 건설 논란을 빚고 있는 새만금호도 전주권 그린벨트가 풀리면 현재 생화학적산소요구량 (BOD) 이 20ppm 이상으로 치솟은 만경강의 수질 개선도 벽에 부닥칠 것으로 보인다.

건교부 관계자는 "상수원에 영향을 미치는 그린벨트 해제에 앞서 환경부와 협의, 대책을 마련하겠다" 고 밝혔다.

양영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