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필 총재 “삼성차 공장 가동 바람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국회는 6일 경제분야 대정부 질문을 벌여 삼성자동차 처리방식과 언론사 세무조사 문제 등을 집중 추궁했다.

김종필 (金鍾泌) 총리는 오후 답변에서 "삼성자동차 부산공장 처리 문제는 채권 금융기관간 협의를 통해 결정될 것이나 부산공장이 현 상태로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정부 방침에 변함이 없다" 고 밝혔다.

金총리는 또 "삼성생명 상장 여부는 기업공개에 따른 특혜가 발생치 않도록 공청회 등을 거쳐 충분히 검토한 다음 결정할 것" 이라며 "앞으로 생명보험사 공개조건 등을 구체적으로 마련하겠다" 고 말했다.

강봉균 (康奉均) 재정경제부장관은 "소득 불균형을 바로잡기 위해 과세특례.상속세 제도를 보완하고 고급주택에 대한 과세를 강화하겠다" 고 밝혔다.

康장관은 '정부가 지나치게 장밋빛으로 경기를 전망하고 있다' (한나라당 李康斗.자민련 鄭宇澤 의원) 는 지적에 대해 "한국은행 분석에 따르면 투자.수출분야의 증가세가 소비쪽보다 두배 가량 더 높으며 올 하반기 일본.동남아 경기가 나아지면 수출은 더 좋아질 전망" 이라고 설명했다.

진념 (陳稔) 기획예산처장관은 "올해는 공공근로사업을 대폭 확대한 만큼 내년에는 이를 축소하고 중소기업과 벤처기업 육성 등 생산적 실업대책을 펴는데 예산을 중점 배정하겠다" 고 말했다.

이에 앞서 김찬진 (金贊鎭.한나라당) 의원은 "정부가 민심전환용으로 대기업과 중앙일보.세계일보와 같은 언론사에 대한 세무사찰이라는 칼을 휘두르고 있다" 며 "이는 내년 4월 총선을 대비한 다분히 의도적인 술수" 라고 주장했다.

이강두 의원은 "삼성자동차의 법정관리 신청은 '국민의 정부' 가 1년반 동안 강압적으로 추진해온 정치적 빅딜이 끝내 실패했음을 극명하게 보여준 사례" 라고 말했다.

또 박광태 (朴光泰.국민회의) 의원은 "금융소득 종합과세제도를 즉각 부활하라" 고 요구했다.

이양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