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개혁 시민연대' 8월초 발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문화 민주주의' 를 내걸고 공공문화정책에 비판적으로 참여, 문화개혁을 지향하는 새로운 형태의 시민운동이 추진되고 있다.

오는 8월초 발족예정으로 추진되고 있는 가칭 '문화개혁시민연대' (이하 문화연대)가 그것.

문화예술인들과 민족예술인총연합. 참여연대 등 기존 시민운동단체들을 그물망 형태로 엮을 이 운동은 ▶중앙정부의 문화정책.행정 감시.평가 ▶지자체 주최 각종 문화축제 감시.평가 ▶각급 학교의 문화교육제도. 행정의 평가.개혁 등 '문화감시단' 활동을 통해 '문화개혁' 을 우리 사회의 주요 의제로 부각시킨다는 구상이다.

이같은 움직임은 올해 초 도정일 경희대교수 (영문과).김지하 시인.최민 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원장.강내희 중앙대교수 (영문과).심광현 영상원교수 등이 모인 자리에서 처음 시작됐다.

그후 민예총. 다움문화예술기획. 도시연대. 민족음악인협의회. 문화과학. 서울문화연구소 등 다양한 문화관련단체 실무자들이 구체적 연대방안을 모색해 왔다.

오는 19일 민예총강당에서 실무 주역이 될 3, 40대 문화예술인 40여명이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여 공개논의를 갖는 데 이어, 다음주 참여연대.경실련 등 시민운동단체까지 참여하는 확대 모임을 통해 발족준비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들은 ▶인권의 새로운 차원으로서 문화적 권리 주창 ▶새로운 다자간 협상인 밀레니엄라운드에 대비한 문화주권.문화생태학적 문제 검토 ▶전통과 현대, 서양학과 동양학을 아우르는 민족문화 재구성 등 문화 일반의 문제를 다루는 '문화인포럼' 도 계획하고 있다.

문화운동과 시민운동을 결합, 그 내용과 방식에서 전례가 없는 이같은 흐름에 대해 심광현교수는 "90년대 들어 문화산업도 증대하고, 정부의 문화정책의지도 높아졌지만 그 내용면에서 문화의 공공성은 갈수록 실종되고 있다는 비판이 문화인들 사이에 크게 일고 있다" 고 배경을 설명했다.

문화연대는 국공립 공연장 민영화.스크린 쿼터 등 정책현안뿐 아니라 국공립도서관. '문화의 집' 등 주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공공문화기반시설 문제에 역점을 둘 전망이다.

심교수는 "문화연대가 지향하는 것은 상품화된 문화가 아니라 주민들의 직접적.자치적 활동에 결합된 문화이고 이를 통해 새로운 차원의 민주주의를 실현하려는 것" 이라고 설명한다.

지역개발시 '환경영향평가' 처럼 '문화영향평가제도' 를 도입, 지역의 문화적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하자는 구체적 정책대안도 거론되고 있다.

대중음악평론가 김창남교수 (성공회대) 는 "80년대의 문화운동이 문화생산자 중심이었고, 문화수용자 쪽 입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던 것이 사실" 이라면서 이같은 방향을 높이 평가했다.

활동방식 면에서 두드러지는 것은 기존 단체들과 개인들의 네트워크를 지향한다는 점. 도정일교수는 "상시적으로는 정보 교환만을 기본으로 삼고, 사안별로 단체.개인들이 연대해서 활동하도록 하는 방식이 논의되고 있다" 고 소개했다.

문화연대가 준비위.공동대표단 등 외형적 기구 조직을 서두르지 않는 것은 그 때문이다.

이후남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