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시민.변호사 단체, 파업공작 규탄 총공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진형구 전 대검 공안부장의 '파업 유도' 발언에 대한 여권의 국정조사권 발동 수용에도 불구하고 노동.시민단체들이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는 등 총공세에 나섰다.

특히 민주노총.한국노총 등 노동계는 9일 이번 사건에 대해 김대중 대통령의 대국민 직접 사과를 요구하는 한편 야당.시민단체와 연대한 범국민 투쟁도 불사하겠다고 밝혀 노정 (勞政) 간 대결국면이 고조되고 있다.

◇ 노동단체 = 민주노총은 9일 오후 대검 청사 앞에서 항의 집회를 갖고 "검찰의 강경대응 유도 의혹 사례는 조폐공사뿐만이 아니다" 며 "만도기계.서울지하철.한국중공업 노조의 사례를 중심으로 검찰의 공안 조작 의혹을 규명하겠다" 고 다짐했다.

민주노총은 10일 현대정공.쌍용중공업 등 창원지역 단위노조가 파업에 들어가는 한편 12일 서울역 대규모 집회 등을 벌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국노총도 9일 대검 청사 앞에서 진상규명 촉구 집회를 갖고 노동조합법상 3자개입 금지 위반 혐의로 진념 (陳稔) 기획예산처장관을 검찰에 고발했다.

한국노총은 "오는 16일로 예정된 시한부 총파업 투쟁을 강력히 전개하고 진상규명이 안되면 26일 전면 총파업에 돌입할 것" 이라고 밝혔다.

◇ 시민단체 = 참여연대 등 4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한국조폐공사 진상조사단' 은 9일 대검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조폐창 이전에 외부기관이 개입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조사단은 이날 "강희복 (姜熙復) 한국조폐공사 사장은 지난해 12월 26일과 30일 김행림 노조 여성부위원장을 만난 자리에서 ' (옥천조폐창의 경산 이전 계획은) 나 혼자 결정한 게 아니다.

모두 위에서 결정된 것' 이라고 말했다" 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金씨는 본사 기자와의 통화에서 "인사 불이익 철회에 관한 대화 내용이 와전된 것" 이라고 밝혔다.

참여연대.경실련.민변 등 78개 시민.노동단체는 9일 낮 12시 서울 명동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정부는 김태정 (金泰政) 전 법무부장관.秦전부장.姜사장 등 책임자를 구속 수사하고 공안대책협의회를 해체하라" 고 요구했다.

◇ 법조계 = 대한변협 (회장 金昌國) 은 이날 성명을 내고 "이번 사건의 본질은 지휘책임이 아니라 검찰의 노조파업 유도라는 정치공작의 사실 유무" 라며 "사건을 덮으려 하는 정부 조처는 지극히 위험한 일임을 경고한다" 고 밝혔다.

채병건.최재희.서익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