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구제 공방 10인 10색…의원들간 이해 엇갈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국회의원 선거구 변경이 기정사실처럼 인식되면서 이를 둘러싼 논의가 뜨겁게 전개되고 있다.

의원 자신의 이익과 직결된 사안인 만큼 공방이 달아오르는 것은 당연한 일. 결과에 따라 정국지도가 달라지므로 여야 (與野) 및 2여간의 신경전도 치열한 것은 물론이고, 같은 당내에서도 주장이 판이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1일 열린 한나라당의 선거구제 개선 토론회에서도 이런 긴장.갈등이 여실히 드러났다.

각기의 이해와 맞물려 소선거구제와 중.대선거구제 선호가 팽팽히 맞섰다.

호남출신 전석홍 (全錫洪.전국구) 의원은 "소선거구제로는 지역감정과 지역당의 한계를 뛰어 넘을 수 없다" 며 중.대선거구제 전환을 촉구했다.

서울출신 박명환 (朴明煥) 의원도 "사표 (死票) 를 최소화할 수 있고 노장청 (老長靑) 의 조화도 이룰 수 있다" 며 맞장구를 쳤다.

반면 소선거구제를 고수한 정의화 (鄭義和.부산중동).이신범 (李信範.서울강서을) 의원은 "이런 논의에 말려드는 것 자체가 여당의 장기집권 음모와 야당파괴에 말려드는 것" 이라며 쐐기를 박았다.

또 "지역감정 해소는 선거구제가 아니더라도 집권자의 개혁의지만 있으면 되는 것" 이라며 "뽑는 의원수보다 백중세 후보가 많으면 비용도 오히려 더 많이 들 것" 이라고 쏴붙였다.

7일 토론회를 앞두고 있는 자민련도 사정은 마찬가지. 주제발표를 맡은 충청권 출신 김학원 (金學元) 의원과 경기구리위원장 이건개 (李健介.전국구) 의원이 한판 붙을 참이다.

당선이 '보장된' 충청 출신 의원과 비충청 의원의 입장이 전혀 다르기 때문. 내부갈등 증폭을 우려한 지도부는 토론회에 이어 소속의원 전원을 대상으로 한 공개설문계획까지 세워놓고 있다.

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