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구리시는 생활·문화·경제권 같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남양주시와 구리시가 수도권에 위치했다는 이유만으로 개발 과정에서 입은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전국 자치단체장 가운데 7월 초 처음 연내 자율통합 추진을 공식 선언한 이석우 경기도 남양주시장이 구리시와의 자율통합 추진에 나선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인구 120만 명의 수도권 동북부의 중심도시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시장은 정부가 통합시에 주는 획기적인 인센티브가 통합의 주요 동인이 되었다고 말했다. 그는 “통합시가 이뤄지면 정부는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해제 및 전철 연장, 특목고·과학영재학교·4년제 대학 설립 같은 지역숙원사업 해결을 우선 지원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남양주시와 구리시는 역사적으로 한 뿌리이며 생활·문화·경제권이 동일한 도시”라며 “23년간 행정구역상으로만 2개의 도시로 분리 운영된 탓으로 소규모 도시라는 인식이 있어 그동안 대규모 국책사업 유치에 어려움이 많았고 도시발전을 위한 기반이 취약했다”고 말했다.

흡수통합을 우려하는 구리 쪽 의견에 대해 “자율통합은 자치단체 간의 대등한 통합이다. 반대를 위해 여론을 호도해서는 안 된다”고 반박했다.

이 시장은 통합 시장 출마계획에 대해 “지금 출마를 논하는 것 자체가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지금은 남양주와 구리 시민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한 뒤 시민의 뜻에 따라 자율통합을 추진해야 할 때”라는 말로 답변을 대신했다.

전익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