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지부동 초.중.고생 사교육비…10명중 8명 과외받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한국교육개발원의 과외비 조사 결과는 지난해 경제난에다 정부의 과외비 절감대책으로 초.중.고생의 과외비 (개인교습.학원.통신학습) 지출이 크게 줄었을 것이란 예상을 뒤집는 것으로 우리 사회의 고질적인 '과외병' 이 얼마나 뿌리깊은지를 잘 말해준다.

김흥주 (金興柱) 교육개발원 연구위원은 "경제규모가 커진데다 과외를 많이 받는 초등.고교생이 98년보다 늘었기 때문" 이라며 "그러나 공교육비 투자도 늘어 전체 교육비 중 과외비 등 사교육비 비중이 지난해 49.1%를 기록, 처음으로 공교육비가 사교육비를 넘어섰다" 고 말했다.

그럼에도 이번 조사 결과는 올해부터 시행된 중.고1 보충수업 폐지 등 고교교육개혁의 성공을 위해선 정부의 과외 근절 대책이 좀더 강력하고 실효성 있는 쪽으로 이뤄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 실태 = 교육개발원 조사 결과 전체 초.중.고 (일반고) 학생의 80% 이상이 과외를 받았다.

전체 학생의 30%는 음악 등 재능학원, 10%는 개인교습, 13%는 입시학원, 21%는 통신학습지 교습을 받았다.

97년 교육개발원 조사에 비해 개인교습 (97년 31%) 은 크게 줄었지만 통신과외 (97년 5%) 는 상당히 늘었다.

경제난으로 '값싼' 과외가 성업 중인 것이다.

한달 평균 과외비는 초등학생이 12만6천원, 중학생이 12만9천원, 고교생이 14만9천여원. 학년이 높아질수록 과외비가 많이 들어갔다.

그러나 이것은 전체 평균에 불과할 뿐 실제로는 더 많은 과외비를 지출하는 가정도 상당수에 이르는 실정이다.

중견회사에 근무하는 姜모 (42) 차장은 "고3 아들을 위해 매달 영어.수학 과외비로 1백만원을 쓴다" 고 말했다.

◇ 문제점.대책 = 많은 교육학자.학부모들은 공교육의 경쟁력이 높아져야 한다고 지적한다.

교육개발원 조사 결과 방과 후 수업을 받는 학생은 전체의 23%에 불과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정부가 97년 사교육비 절감을 위해 도입한 교육방송의 위성교육방송 시청률도 60%대 (중.고)에 머물러 있다.

대학생.고1 자녀를 둔 중견기업 文모 (49) 부장은 "고1 보충학습이 없어지면서 학원비.과외비로 월 50여만원이 들고 주변에는 과목당 과외비로 1백만원을 지출하는 가정도 있다" 며 "학교교육이 충실해져야 월급쟁이가 살 수 있다" 고 말했다.

한국교육개발원 관계자는 "단기적으로는 불법과외를 적극 단속하고 장기적으로는 방과 후 수업 활성화.대입제도 개선 등을 통해 과외가 불필요한 교육환경을 조성해야 하며 학부모들도 믿고 따라가면서 학교운영위원회 등에 적극 참여, 스스로 학교의 공교육 기능을 높이도록 노력해야 한다" 고 강조했다.

오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