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총재 회담] '국정 동반자로 상호존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과 이회창 (李會昌) 한나라당 총재는 17일 청와대에서 여야 총재회담을 갖고 정치개혁 입법을 조속히 합의 처리키로 하는 등 6개항의 합의문을 발표했다.

두 사람은 2시간45분에 걸친 회담을 마친 뒤 박지원 (朴智元) 청와대 대변인을 통해 발표한 합의문에서 "여야는 인위적인 정계개편이 있어서는 안된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향후 국정운영의 동반자로 상호존중하며 생산적인 정책경쟁을 펼쳐 나가기로 합의했다" 고 밝혔다.

회담 후 金대통령은 "인간적인 문제도 토론했고 李총재도 아주 만족해 했다" 고 말해 공식발표에 포함되지 않은 합의 내지 대화내용이 주목된다.

두 사람은 합의문에서 "정치안정과 국민통합의 실현을 위해 과거의 굴레에서 벗어나 큰 정치로 미래지향적 국정운영 실현에 상호노력한다" 며 남북문제와 관련해서는 "초당적 대처가 필요할 경우 이를 위해 정책협의를 갖는다" 고 천명했다.

합의문은 이와 함께 지난해 11월 총재회담에서 합의한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여야 협의체' 를 조속히 정상 가동시키기로 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언제든지 여야 총재회담을 개최키로 했다.

이날 회담에서 金대통령은 "정치보복 사정 (司正) 은 절대로 없다" 면서 "고문에 대한 증거가 나타나면 단호히 조치하겠으며 도청은 하지 않고 있다" 고 강조했다.

金대통령은 "국가정보원이 국회에 사무실을 둘 필요가 없다" 며 "당에 지시해 국회의장에게 국회 529호실을 폐쇄하도록 요구하라고 했다" 고 밝혔다.

金대통령은 대북문제와 관련, "대북 포용정책이 실패할 때도 전쟁으로 가서는 안되며 끝까지 북한을 설득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고 지적하고 "포용정책이 잘 안됐을 때의 대책을 가지고 있다" 고 소개했다.

金대통령은 빅딜문제 등에 있어 "앞으로 잘되면 정부는 간접적 개입도 하지 않고 손을 떼겠다" 고 예고했다.

金대통령은 "한.일 어업협정과 관련해서는 대통령으로서 국민에게 미안하게 생각하고 최대한 어민들에게 보상처리를 하도록 하겠다" 고 다짐했다.

李총재는 국민연금 문제와 관련, "98년 12월 종합소득세 신고 후 그 자료를 토대로 내년 1월 1일부터 실시하자" 고 제안했으나 金대통령은 "국민연금은 예정대로 한다" 고 밝혔다.

李총재는 "실업.경제.민생문제에 건설적 협력을 하겠다" 고 약속했다.

李총재는 "그러나 빅딜은 시장경제원리를 무시하고 정부가 지나치게 개입하고 있다" 며 시정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연홍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