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청문회]일주일 중간결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여권 단독의 경제청문회가 '속빈 강정' 으로 진행되고 있다.

조사특위 위원들이 증인.참고인들의 비협조적 답변을 반박할 만한 충분한 근거자료를 준비하지 못한 데다 김영삼 (金泳三) 전대통령의 불출석론이 부각되면서 특위위원들의 열의도 청문회 초기만 못한 탓이다.

자연히 경제파탄의 근본 배경과 직접 원인을 낱낱이 밝히겠다는 당초의 목표도 달성될 것 같지 않다.

◇ '설 (說)' 만 난무 = 특위위원들은 그동안 말로만 나돌던 '김선홍 리스트' '이신행 리스트' 를 공개 거론했지만 확인작업엔 소홀했다.

김선홍 전 기아회장이나 이신행 전 의원 등이 "그런 것은 없다" 고 부인하자 리스트 확인작업은 한발짝도 앞으로 나가지 못했다.

기아그룹 비자금 창구로 기아의 일본 자회사인 '기아재팬' 을 지목해놓고도 업계 관계자의 증언이나 비자금 조성혐의를 둔 설비도입 내역조차 제시하지 않았다.

기산의 기아그룹 계열사 편입은 기아 부도를 촉발시키려는 의도였다는 '음모설' 로 공정거래위원회의 반발까지 불렀다.

공정위는 "당시 기산은 기아 직원들이 의무적으로 출자한 경영발전위원회를 통해 경영권을 실질적으로 행사하고 있어 명백한 계열사였다" 며 "같은 원칙에 따라 기산뿐 아니라 대우의 ㈜우리자판, 삼성의 세콤 등도 줄줄이 위장계열사로 적발됐었다" 고 설명했다.

◇ 운영미숙 = 중복질문은 청문회를 지루하게 했다.

또 임창열 전 부총리의 IMF행 인지 시점을 둘러싼 자민련 위원들의 반복된 질문과 국민회의 위원들의 엄호는 환란원인 규명이라는 청문회 취지를 무색케 했다.

소화하지 못할 만큼 많은 증인과 참고인을 선정, 대기실에서 하루 종일 기다리다 한마디 증언 없이 돌아가는 사람도 있었다.

서승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