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판까지 진통 거듭한 '서상목 체포동의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529호실 사태' 시비와 의안 변칙통과 공방 속에서 체포동의안 처리가 회기 마지막날까지 진통을 거듭했다.

6일 국회 본회의에서 66개 의안을 단독 강행처리한 여당은 당초 7일 본회의에서 여야 의원 10명의 체포동의안 중 서상목 의원건만 분리 처리한다는 방침이었으나 한나라당의 강경대응에 부닥쳐 일단 발을 뺐다.

야당의 반발이 동의안처리 유보의 1차적 이유지만 그보다는 단독 변칙처리에 따른 여야관계 및 여론 악화 등 정치적 부담을 우려한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어차피 8일부터는 제200회 임시국회가 개회될 것이므로 "기회는 계속 있다" 는 여유감도 한몫한 듯하다.

며칠간 처리를 유예, 시간끌기를 하면서 강행처리 명분을 축적해 두자는 계산일 수도 있다.

여당의 徐의원건에 대한 분리처리 강행방침은 확고하다.

"세정 (稅政) 을 문란시켜 국기를 흔든 국사범인 만큼 개인비리 사건과 달리 분명히 처리해야 한다" 는 게 일관된 주장이다.

청와대 한 고위 관계자는 지난 1일 이회창 총재에게 신년인사를 하면서 "徐의원건을 서둘러 처리하는 것이 여야관계 회복과 향후 정치일정을 풀어나가는 데도 도움이 될 것" 이라며 李총재의 이해를 구했으나 李총재는 이를 단호히 거절한 것으로 알려졌다.

6일 밤 李총재가 소속 의원들의 철야농성을 힘겹게 결정한 것도 체포동의안 강행처리를 막아야 한다는 절박함 때문이라는 관측도 있다.

李총재측은 徐의원건의 분리처리를 李총재의 정치생명에 결정적 타격을 가하려는 여당의 계산이 담긴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체포동의안 대상 의원들을 중심으로 "가만 있었으면 그대로 넘어갈 일을 529호실 사태를 일으켜 되레 우리만 피해보는 것 아니냐" 는 비난이 불거지는 것도 신경 쓰이는 대목이 아닐 수 없다.

때문에 한나라당은 앞으로도 체포동의안 처리엔 원천봉쇄.실력저지 등 최대한 강경자세로 맞설 게 예상된다.

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