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529호 사태]안기부 발빠른 대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이종찬 (李鍾贊) 안기부장이 '국회 529호 사태' 의 최전선에 나섰다.

한나라당의 거센 정치공세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선 李부장의 직접 반격이 불가피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에 대해 여권 일각에서도 회의적인 시각이 없지는 않다.

그러나 과거 정권에서의 '관계기관 대책회의' 와 같은 조정기구가 없는 상태에선 총체적 대응을 위해 어쩔 수 없다는 게 여권의 일반적인 입장이다.

李부장은 사건 초기부터 기자간담회.검찰고발 등 발빠른 조치를 취한 데 이어 김인영 (金仁泳) 국회 정보위원장에게도 정보위원회 전체회의 (5일) 를 열어줄 것을 이례적으로 요청하기도 했다.

안기부는 국회가 정보기관의 비밀을 지켜주지 못한데 대한 대응조치로 또다른 열람실인 528호와 비밀자료 보관실인 530호에 비치된 문건을 모두 회수하겠다는 입장을 金위원장에게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李부장은 또 정보위가 열리면 한나라당측의 529호 강제진입이 법치국가에서 있을 수 없는 일임을 강조하고 국가정보기관의 권위와 사기가 크게 손상된 점에 강한 유감을 표할 방침이다.

안기부는 또 李부장 지시에 따라 한나라당의 '정치사찰' 주장에 대해 4일 비판논리를 마련, 언론에 배포했다.

이 자료는 "정치사찰은 미행.도청 등 불법적인 방법으로 정치인의 약점을 캐내 정치적으로 악용하는 것" 이라고 규정하고 "한나라당이 확보한 문건내용 어디에도 그런 증거가 없다" 고 반박했다.

정치정보 수집활동에 대해선 "정치권도 북한과 좌익세력의 침투대상에서 예외가 될 수 없기 때문에 이런 차원에서 관련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수집정보를 의도적으로 이용해 정치현상 변경을 초래하는 정치공작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고 주장했다.

전영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