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금의혹' 검찰수사]이회창 총재 흔적찾기에 부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검찰이 이회창 (李會昌) 총재의 동생 회성 (會晟) 씨를 구속기소함에 따라 대선자금 불법모금 사건과 李총재의 관련 여부에 대한 수사가 어떻게 진행될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검찰은 이회성씨가 李총재의 국세청 불법모금 개입 여부에 대해 전면 부인하고 있으나 李총재가 지난해 12월 초 임채주 (林采柱) 전 청장에게 "수고한다.

앞으로도 열심히 해달라" 는 격려 전화를 한 점으로 미뤄 李총재가 직.간접적으로 개입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이 부분에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또 검찰은 李총재의 후원조직인 이른바 '부국팀' 이 지난해 9월 "국세청을 통해 자금위기를 해결하자" 는 계획서를 작성한 사실에 주목하고 있어 새해 벽두부터 이흥주 (李興柱) 한나라당 총재특보 등 李총재 측근들이 줄줄이 소환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관련자들이 李총재의 개입 혐의에 대해 진술하지 않는 한 검찰 수사는 李총재의 주변 인물들을 사법처리하는 선에서 마무리될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李총재 역시 정치적.도덕적으로 작지 않은 상처를 입게 될 전망이다.

한편 검찰은 李씨 기소와 관련, "사건의 핵심인 이석희 (李碩熙) 전 국세청차장에 대한 조사가 불가능한 상태라 전모를 완벽하게 밝힐 수 없지만 여러 정황으로 볼 때 이회성씨는 초기부터 국세청 불법모금을 계획하고 주도해 온 혐의가 드러났다" 고 밝히고 있다.

공소장에 따르면 이회성씨는 지난해 9월부터 고교 후배인 李전차장과 여러 차례 만나 전체적인 모금대상 기업 선정과 역할 분담 등에 관해 의견을 나눈 것으로 밝혀졌다.

국세청을 동원한 대선자금 모금계획이 확정되자 이에 협조키로 한 李전차장과 구속된 주정중 (朱正中) 전 국세청 조사국장이 대선자금을 거둘 1백대 기업의 명단을 작성, 탈세 및 주식 불법거래등 기업들의 약점까지 일일이 들어가며 대선자금을 받아냈다는 게 검찰 설명이다.

정철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