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경제청문회 합의 불만 민주계 15명 집단반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총재회담 직후 한나라당에 이상기류가 흐른다.

그간 대여 (對與) 투쟁 와중에서 잠복돼온 계파간 갈등이 수면으로 떠오를 기미다.

무엇보다 경제청문회를 합의해준 데 따른 민주계의 불만이 노골화되고 있다.

김영삼 전 대통령과 무관치 않은 자신들에게 불똥이 튈까 경계하며 "이회창 (李會昌) 총재가 성급한 합의를 해줬다" 는 원성을 보내고 있다.

이들 중 맏형격인 김수한 (金守漢) 전 국회의장과 신상우 (辛相佑) 부의장은 11일 당 비상대책회의에 참석, 이같은 입장을 李총재에게 전달한 것으로 알려진다.

12일엔 辛부의장과 박관용 (朴寬用).강삼재 (姜三載) 의원 등 한나라당내 민주계 출신 의원 15명의 오찬모임도 예정돼 있다.

'단체행동' 으로 발전할 가능성도 충분히 점쳐진다.

비주류측도 심상치 않다.

李총재와 서먹한 관계를 유지해온 이한동 (李漢東) 전 부총재는 11일 "총재회담의 성과는 '국민' 입장에서 판단해야 한다" 고 오랜만에 목소리를 냈다.

"李총재 개인의 위상을 높인 것 외에 당과 국민이 얻은 것은 없다" 며 불만을 표한 것으로 전해진다.

"청문회 개최 합의는 당내 분란만 초래할 뿐" 이라고도 했다.

이같은 일부 일탈기류가 이회창 총재체제의 견고한 구축작업이 이뤄질 26일 당 전국위원회 이후부터 본격화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주류내부의 문제도 변수다.

총재경선 과정에서 李총재를 도왔던 김윤환 (金潤煥) 전 부총재와 이기택 (李基澤) 전 대행에 대한 '배려' 문제다.

이들에게 '수석부총재' 나 '당의장' 등 어떤 식으로든 자리를 마련해줘야 하는데 여의치 못해 공조에 금이 갈지도 모르는 형편이다.

李총재가 예상되는 내우 (內憂) 의 진통을 어떻게 해소해 나갈지는 전혀 미지수다.

서승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