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일기]홍보에 치중한 대일협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8면

엄연히 상대방이 있는 게임에서 설익은 내용을 흘려 상대를 불편하게 만든 일이 최근 두번이나 한일 협상테이블에서 일어났다.

지난달 29일 한일 재계회의. 오후3시 도쿄에서 시작된 회의가 끝나기도 전에 전경련은 ▶양국기업의 전략적 제휴와 한.중.일 자유무역지대 설치 ▶엔 국제화.아시아통화기금 설립 ▶기업구조조정에 일본기업 참여확대를 골자로 한 발표자료를 내놓았다.

하지만 정작 합의내용은 달랐다.

자유무역지대는 경제적 효과에 관한 '공동연구' 를 조속히 착수한다는데 그쳤다.

양국의 전략적 제휴도 전경련과 게이단렌 (經團連) 실무관계자로 구성된 기업경영연구회를 통해 '어떤 업종이 적당한 지를 검토한다' 는 수준이었다.

"엔을 아시아 결제통화로 사용하자" 고 제안한 것은 한국측이었으며 일본측은 "엔을 아시아 결제통화로 만들 생각은 없으나 엔 국제화는 계속 추진하겠다" 는 기존의 공식입장만 반복했다.

약 한달전 한일 정상회담때 합의본 일본 수출입은행의 30억달러 대한 (對韓) 지원에 대해서도 일본측은 마음이 편치 않다.

당시 한국 정부는 "30억달러중 27억달러는 우리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 언타이드 론이고 금리도 파격적으로 낮게 결정됐다" 고 '홍보' 했다.

하지만 일본측은 "언타이드론은 23억달러이며, 금리는 지금부터 협상해야 할 사안" 이라고 말한다.

이 두가지 사안을 곰곰이 뜯어보면 한국은 희망사항을 합의사항 처럼 발표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한국 언론이 한일 재계회의와 30억달러 금융지원을 크게 다룬 반면 일본언론들은 차분히 취급한 데서도 그런 문제가 읽혀진다.

일본과의 협상에는 조용한 막후협상이 효과적이다.

"내가 해냈다" 식의 자랑은 해가 될 뿐이다.

도쿄에서는 "한국의 협상전략은 태국이나 인도네시아보다 훨씬 후진적" 이라는 소리까지 들린다.

이철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