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수가 썩고있다]본지 취재팀 오염현장 조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지난 23일 대형 매립지를 끼고 있는 부산시해운대구석대동. 기획취재팀이 매립지 침출수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측정하기 위해 취수관정을 찾아 나서자 주민들의 반발이 만만찮았다.

이곳 취수정은 아직도 일부 주민들이 식.생활용수로 사용하고 있다.

한 식당 주인은 "그런 게 (측정지수) 나가면 동네 이미지가 나빠져 매상에 지장이 있다" 며 막무가내로 가로막았다.

결국 실측하려던 20개의 관정중 동네 사람들의 눈을 피해 겨우 4개의 관정만 조사할 수밖에 없었다.

결과는 역시 오염도가 심했다.

한 곳은 전기전도도 (EC)가 무려 2천㎲/㎝가 넘었다.

이 정도는 일반적인 오염기준치 (3백~4백㎲/㎝) 의 5배에 가까운 수치. 현장에 있던 부경대 지구환경과학부 정상용 교수는 "이쯤이면 회생 불능상태에 가깝다" 며 "자연치유가 되더라도 20~30년은 기다려야 한다" 고 진단했다.

이처럼 매립지 침출수에 의한 오염지역은 서울 한복판의 압구정동도 마찬가지였다.

대구의 비산염색공단지역의 지하수도 오염기준치의 3배 정도를 초과했다.

식.생활용수를 1백% 지하수에서 공급받는 제주. 이곳은 사방에 바다를 끼고 있는 지역적 특성 때문에 해수의 침입 가능성이 크게 나왔다.

제주 지하수개발사업처 고기원 박사는 "해수에 의한 오염은 거의 정화가 불가능하다" 고 말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서울을 비롯, 부산.대구.광주.제주 등 5개 지역의 25개 관정중 4곳을 제외한 21개 관정이 오염 기준치를 초과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