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하종정“총무원장 3선반대”조계종단 내부갈등 폭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오는 11월 12일 조계종 총무원장 선거를 앞두고 월하 (月下) 종정이 월주 (月珠) 현 총무원장의 3선출마에 반대하고 나서 승단 내부의 갈등이 마침내 폭발했다.

월하종정은 27일 교시 (敎示) 를 통해 "총무원장 3선은 종헌종법에 위배되기 때문에 절대 부당하다" 고 못박았다.

또 원로.중진.본사 주지.종회의원 등에게 ^종단화합과 발전을 위해 종헌종법을 전향적으로 개정하고^중징계자들을 선별 사면할 수 있는 법을 마련할 것을 당부했다.

특히 월하종정은 이날 월주 총무원장을 향해 "비구계 (比丘戒) 를 수지하지도 않은 승려가 종단 공무집행을 하는 것은 어불성설" 이라는 직격탄을 날렸다.

월하종정과 월주 총무원장은 본사 주지 임명,징계 승려의 사면문제 등을 둘러싸고 오래전부터 대립해왔다.

이러한 갈등이 총무원장 선거를 앞두고 3선법리논쟁 (조계종 종헌상 총무원장은 1차 중임만 허용) 을 매개로 해 폭발한 것이다.

물론 3선반대와 함께 월주 총무원장의 비구계 수지 문제를 이미 알고 있었으면서도 뒤늦게 제기하는 월하종정 측이나 총무원장 후보 예정자들에게도 문제는 있다.

왜 이런 기강문란을 당시 척결하지 못하고 지금에서야 제기하는 데는 양심적인 자책이 없을 수 없다.

결국 지금까지 '묵인' 해온 허물을 깊이 반성해야 한다.

그러나 근본문제로 돌아간다면 승려의 기본자격인 비구계 수지 여부와 3선법리논쟁에 휘말려 있는 월주 총무원장이 오늘의 갈등 한복판에 서 있는 주인공이다.

총무원장을 꼭 한번 더 해야 하는지, 비구계 문제를 이미 묵인된 비밀로 기정사실화해야 하는지를 스스로 물어봐야 할 필요가 있다.

이제 종정이나 총무원장도 내적 자아에 의지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지경이라면 총무원 법규위원회를 하루 빨리 소집, 분규의 명분인 3선법리논쟁에 명쾌한 유권해석을 내려야 한다.

이은윤 전문위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