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값 폭락으로 양돈농가 울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전남무안군현경면동산리에서 돼지 1천3백여마리를 기르는 채사남 (蔡四男.52) 씨는 날마다 10마리씩 팔아 목돈을 손에 쥔다.

그러나 신이 나기는 커녕 한숨만 나온다.

1백50만원 안팎에서 사료값.약품비.인건비와 축사 (7백여평) 의 감가상각비 등을 빼면 오히려 50만원 가량 손해이기 때문이다.

자구책으로 새끼를 내는 모돈 (母豚) 1백35마리 중 15마리를 없애는 등 사육 두수를 줄여 나가고 있으나 2억여원의 정부융자와 사채를 생각하면 앞길이 막막하다.

폭락했던 소값이 안정을 되찾았으나 이젠 돼지가 소비 감소와 사육 두수 증가로 값이 뚝 떨어져 양돈농가들이 울상을 짓고 있다.

전남도는 최근 돼지 출하가격 (1백㎏기준) 이 평균 15만4천원으로 올들어 최고였던 지난 3월의 22만2천원에 비교, 30.6%가 떨어졌다고 21일 밝혔다.

지난 20일 광주 삼호축산과 나주 축협공판장의 입찰에서 형성된 가격은 14만2천원에 지나지 않는 등 돼지 값이 본전조차 건지지 못할 만큼 내려간 것이다.

축협중앙회에 따르면 새끼돼지를 5개월 정도 길러 출하할 때까지 드는 사료값 등 순수 생산원가는 약 18만원. 농가들로서는 적정이윤 2만원을 포함해 20만원은 받아야 수지가 맞는다.

돼지값 폭락 원인은 지난 2년간 대만에서 돼지 전염병인 구제역이 돌아 일본 수출을 못하면서 국내 사육두수가 급증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말 현재 사육두수는 7백70여만마리로 1년 전보다 70여만 마리가 늘고 적정 6백만마리를 훨씬 초과하고 있다.

IMF사태후 가계가 어려워져 육류소비가 줄고, 더욱이 쇠고기 값 마저 싸져 사람들이 돼지고기를 덜 먹고 있는 것도 돼지값 하락을 부채질하고 있다.

대한양돈협회광주전남협의회 최희태 (崔熙兌.50) 회장은 "돼지값이 연말께는 11만원대로 떨어져 도산하는 농가들이 많이 나오고 내년 3월부터나 값이 다시 회복세로 돌아설 것" 이라고 전망했다.

또 축협중앙회 서익호 (徐翼虎.40) 경제사업과장은 "사육두수가 이미 지난해부터 적정수준을 초과한 데다 소비위축까지 겹쳐 돼지파동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며 "농가들에게 사육두수를 대폭 감축토록 지도하고 있고 수매할 계획은 아직 없다" 고 밝혔다.

광주 = 이해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