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판문점 총격요청 의혹사건' 극한대치 계속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판문점 총격요청 의혹사건을 놓고 여야는 추석 연휴인 6일에도 '배후세력 규명' 과 '고문 조작' 주장을 펴며 정면 대치했다.

국민회의는 특히 이 사건을 '국가반역사건' 으로 규정하고 이회창한나라당총재를 더 이상 정국운영의 파트너로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을 취했다.

여권은 또 한나라당이 국회 등원을 거부할 경우 8일부터 단독으로 국회를 열기로 했다.

반면 한나라당은 오정은씨 등 구속된 3인에 대해 4일과 5일 서울지법에서 실시된 고문부위 증거보전을 위한 검증재판 및 감정 결과를 들어 이번 사건이 고문조작극이라며 이종찬 (李鍾贊) 안기부장과 김태정 (金泰政) 검찰총장의 파면을 촉구했다.

◇ 여권 = 국민회의는 구속된 전청와대행정관 吳씨 등이 대선전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의 정치일정에 동행했고, 한성기씨 등이 북한측에 총격전을 요청하며 장소와 시기까지 구체적으로 주문했다는 주장을 새로이 제기했다.

당3역 회의가 끝난 뒤 정동영 (鄭東泳) 대변인은 "북한에 총격을 요청한 3인조는 전시상황에선 총살형, 평상시에도 사형죄에 해당하는 책임을 져야 한다" 면서 "고문설을 주장하며 정쟁을 계속할 경우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를 정치파트너로 인정할 수 없다" 고 밝혔다.

鄭대변인은 "한나라당내 건전 야당 지향세력과 李총재 및 소수 측근세력을 분명히 구분, 국기 문란세력을 명백히 규정지을 필요가 있다는 논의가 있었다" 고 말했다.

鄭대변인은 또 "이회창 총재가 대선전 박찬종 (朴燦鍾) 전의원과 돈암장에서 만날 때 오정은.한성기씨가 李총재의 승용차에 동행했다는 진술이 있다" 며 구속된 3인이 이회창 총재의 핵심 정치참모였다는 주장을 폈다.

한편 김원길 (金元吉) 정책위의장은 "시급히 처리해야 할 민생.구조조정 관련 법안만도 2백30개에 달한다" 며 "국회의장에 의한 상임위 재배정 후 법안처리 또는 의장 직권에 의한 본회의 상정 등의 방안도 강구하고 있다" 고 말했다.

◇ 한나라당 = 6일 이회창 총재 주재로 열린 주요당직자회의는 이번 사건이 고문으로 인한 조작사건임을 입증하는데 당력을 총결집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오정은.한성기.장석중씨 등 3인에 대한 언론 입회하의 공개접견 제의와 함께 유엔인권위원회에 대표단을 파견해 현정권의 인권유린 실상을 폭로하기로 했다.

안상수 (安商守) 대변인은 "구속된 3인이 모두 고문사실을 폭로하고 있고 접견에서 구타흔적을 확인했다" 며 "고문부위 검증재판과 감정이 당초 3일과 4일 오후로 각각 예정돼 있었으나 검찰이 일방적으로 시간을 지연해 은폐를 기도한 흔적이 있다" 고 주장했다.

이와 별도로 구속자 가족들은 유엔인권위와 국제사면위에 '사건 조작사실을 밝혀달라' 는 내용의 호소문을 이날 발송했다.

김석현.이상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