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통령 특별회견]“제2환란 가능성 없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은 28일 "금융구조조정이 이달중 마무리되면 다음달부터 통화를 늘리고 재정지출을 확대하는 등 경기부양 조치를 취해나갈 것" 이라고 밝혔다.

金대통령은 " (경기부양책은) 이번이 끝이 아니라 앞으로도 상황을 봐가며 적절한 대책을 세워나가겠다" 고 덧붙였다.

金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경제부처 장관들을 배석시킨 가운데 경제 관련 내외신 특별 기자회견을 갖고 "실물경제는 절대 붕괴하지 않을 것이며 정부가 붕괴토록 놔두지도 않을 것" 이라고 역설했다.

金대통령은 "이번주부터 정부는 금융기관이 가지고 있는 부실채권을 본격적으로 매입해주고 증자를 실시할 예정이며, 금리도 더욱 낮추도록 노력하겠다" 고 말하고 "정부 재정의 적자폭을 늘리고 이 재정을 사회간접자본 확충, 정보화.미래화 산업에 집중 투자해 고용을 늘려나가겠다" 고 설명했다.

金대통령은 경기 진작을 위해선 정부가 추진하는 구조조정이 신속히 마무리돼야 한다면서 "정부는 재계 스스로 발표한 사업구조조정 합의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을 경우 금융기관의 여신 중단.융자금 회수 등의 조치를 취해 대응해 나갈 것이며, 대기업정책에 대해 정부는 일보도 양보할 수 없다" 고 말했다.

金대통령은 "우리경제가 외환위기 상황에서 벗어났으며, 한마디로 제2환란 가능성은 없다" 고 단언했다.

이어 실업대책과 관련, "아직도 3D업종에는 일자리가 있는 만큼 실업자들도 몸과 눈을 낮추는 자세가 필요하다" 고 지적했다.

金대통령은 "당장은 구조조정 작업으로 인해 경기침체와 실업자 등 부작용이 있으나 구조조정을 신속하고 확실히 마무리하면 우리 경제가 내년 중반부터 플러스 성장으로 회복하고 재도약의 희망속에 2000년을 맞이할 것" 이라고 전망했다.

金대통령은 특히 노사문제에 대해 "가장 중요한 것은 기업을 살리고난 뒤에 노사가 있는 점" 이라며 "노사가 고통을 분담하는 동시에 성과도 같이 나누면서 기업을 살려야 한다" 고 강조했다.

金대통령은 사정 (司正) 문제에 언급, "국가 징세권을 이용한 선거자금 모금이나 수많은 정치 부패사건을 그대로 두면 나라 일이 어떻게 되겠느냐" 고 반문하고, 그러나 "검찰도 모든 것을 오래 끌지 않을 것으로 알고 있는 만큼 머지않아 마무리될 것" 이라고 밝혔다.

金대통령은 이밖에 일본측이 요구하는 수입선 다변화 정책 폐지에 대해 "머지않아 종료시킬 생각을 갖고 있다" 고 밝혔다.

이연홍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