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회창의 한나라당 항로와 과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한나라당에 다시 이회창 (李會昌) 총재체제가 들어섰다.

그러나 그가 다시 갖게 된 당권은 지난번과는 전혀 다른, 여당이 아닌 야당의 당권이다.

그로서는 전혀 달라진, 아주 험난해진 상황에서 당을 이끌어가야 한다.

이제 야당 지도자로서의 李총재 역량이 시험대에 오르게 된 것이다.

향후 한나라당의 위상과 노선은 전적으로 그에게 달려 있다.

나아가 국정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견제받으며 균형있게 굴러갈는지도 상당부분 그에게 달려있다 해도 과히 틀리지 않는다.

그가 야당의 기치를 들고 나선 지금은 시기적으로 정말 어려운 때다.

야당 경험이 거의 없는 구성원들은 여권의 사정 (司正) 압력 등에 갈피를 못잡은 채 무력감에 빠져 있다.

이런 상황에서 당 내부적으로는 경선을 치르며 불거진 계파간 불화, 그리고 일각의 적대감정까지 노골화돼 갈등과 분열상은 갈 데까지 가 있다.

경선에서 패배한 후보측의 일부, 또는 경선결과와 관계없이 추진되는 일각의 집단이탈 움직임이 무시할 수 없는 진도 (震度) 로 노골화된 상황이다.

여권이 강력히 추진하는 '여대야소 (與大野小) 및 전국정당으로의 정계재편' 에 직면하고 있는 것이다.

또 '개혁' 이란 이름으로 밀어붙이는 경제.방송청문회와 사정사슬도 목을 조여 오는 중이다.

李총재는 이러한 작금의 상황을 "우리당이 죽느냐 사느냐의 갈림길" 이라고 표현한다.

생존을 위해 '강한 야당' 과 '당내 결속' 이 필수라고 본다.

구체적으로는 이탈세력의 최소화와 새 정부에 대한 철저한 비판, 그리고 대안있는 야당 이미지의 신속한 구축을 목표로 세우고 있다.

총재경선 과정에서 입은 당의 상처 치유가 첫째다.

李총재가 적극 나서 각 계파 보스 및 중진들을 두루 만나 협력을 요청할 예정이다.

당직배분.체제정비 과정에서 '계파 안배' 의 노력도 보일 것 같다.

그러나 얼마간의 이탈은 각오한 듯하다.

"당의 이념과 노선에 공감하지 않는 세력은 어쩔 수 없다" 는 얘기다.

'내부 잡음은 오히려 적 (敵)' 이라는 생각이 '군살 자르기' 로 나타날 수 있다.

특히 경제청문회를 앞두고 이른바 'YS와의 차별화' 시도가 나오리라는 전망도 있다.

'경제실정 책임' 이란 원죄 (原罪) 를 민주계 축출로 만회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다.

이 경우 정치권 전체의 구조변화는 한층 가속화된다.

대여 (對與) 투쟁도 아주 강도 높게 이어질 참이다.

야당 지도자로서의 이미지 구축을 위해서도 선명.강경 투쟁이 불가피할지 모른다.

실제 李총재체제의 한나라당은 정기국회 등을 통한 '지역편향 인사' '어긋난 개혁' 의 질타를 벼르고 있다.

여권의 야당의원 빼가기에 대한 비판과 대응도 곧 궤도를 찾을 것 같다.

그러나 마냥 대치정국이 지속될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李총재 스스로 "국난극복 차원에서 정부.여당에 협력할 건 협력할 것" 이라고 밝히고 있다.

투쟁도 필요하지만 '집권경험을 가진 안정감있는 정당' 이미지도 생존요건이라고 보는 李총재다.

김석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