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대화 9월 재개 추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는 유엔사와 북한간 장성급회담에서의 속초 잠수정 침투사건에 대한 사과문제 논의와는 별개로 김정일 (金正日) 북한노동당 총비서가 국가주석에 취임한 직후인 다음달 중순 남북대화 재개를 적극 추진할 방침인 것으로 2일 알려졌다.

이는 지난 4월 결렬된 차관급 당국회담 (중국 베이징) 이 별다른 진전이 없는 데다 잠수정.무장간첩 침투와 사과문제로 경색된 남북관계가 더 이상 장기화되는 게 바람직하지 않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정부당국자는 "북한이 이달말 최고인민회의에서 김정일을 국가주석으로 선출할 것이 확실시된다" 면서 "김정일시대가 본격 개막될 9월 중순 어떤 형태로든 남북대화가 재개될 것이고 이를 위해 공식.비공식 채널이 가동될 수 있을 것" 이라며 막후접촉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 당국자는 "잠수정 침투사건에 대한 사과요구는 장성급회담을 통해 인내심있게 추진할 것" 이라며 "사과에 앞선 대규모 대북지원이나 투자는 곤란하지만 남북당국대화는 언제라도 재개할 수 있다는 게 정부입장" 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남북교류 활성화와 경수로분담금 협상타결 (8월중순) , 금강산관광시작 (9월말) 등 이 시기에 집중된 남북간 해빙무드를 최대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지난번 당국회담에서 제기했던 남북정상회담을 위한 특사교환과 이산가족면회소 설치문제도 다룰 예정이다.

정부는 또 분위기조성을 위해 김정일의 주석취임에 즈음해 당국자명의의 '환영논평' 을 내는 방안을 두고 북한전문가와 국민의 여론을 수렴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강인덕 (康仁德) 통일장관은 지난달 31일 기자간담회에서 " (남북정상회담은) 구상을 하고 있으나 아직 스케줄이 잡힌 것은 아니다" 며 "김정일의 주석취임에 대해 적대적으로 얘기 (반응) 할 필요는 없을 것" 이라고 말했다.

북한당국도 최근 남북대화 재개를 겨냥, 대남전문가 상당수를 교체한 것으로 지난달 26일 실시된 최고인민회의 선거에서 확인됐다.

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