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회의 지도체제]이해 뒤얽혀 미묘한 긴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7.21 재.보선 이후 제기된 당조직 재정비를 둘러싸고 국민회의에 미묘한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당내 초선의원들의 푸른정치모임이 현행 총재권한대행 체제의 비효율성과 무력함을 강력 비판하면서 촉발된 논쟁이 당권을 노리는 원내외 중진들간 복잡한 역학구도와 맞물리면서 첨예한 대립양상으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당내는 물론 청와대 또한 지난해말 대선을 앞두고 임시방편으로 고안된 현행 대행체제를 대표체제로 바꿔야 한다는 당위성과 필요성엔 공감하고 있다.

특히 11명의 부총재와 1백35명의 당무위원을 소수정예화, 결정권과 책임을 부여해야 한다는 점에도 이견이 없다.

재.보선 이후 조직정비의 필요성을 더욱 절감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시기와 방식에 대해선 입장에 따라 전혀 다른 목소리가 튀어나오고 있다.

논쟁의 당사자인 조세형 (趙世衡) 대행과 당내 위상확보에 절치부심중인 정대철 (鄭大哲) 부총재 등은 조기개편론을 주장하고 있다.

趙대행은 "원래 대선후로 예정했던 것을 6.4선거후 하자고 해 미룬 것" 이라며 조기개편을 강력히 희망하고 있다.

더불어 추대형식을 내심 바라고 있다.

원내진출을 계기로 대행으로서의 기득권을 최대한 활용하자는 계산이다.

푸른정치모임 또한 누가 대표를 맡아야 하느냐는 점엔 입장표명을 유보하지만 조기개편 쪽이다.

하지만 청와대와 동교동계는 "서두를 필요가 없다" 며 조기개편론에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8월말 한나라당 전당대회가 경우에 따라선 분당 (分黨) 사태 등도 예상되는 미묘한 시점인 만큼 향배를 지켜봐야 한다는 이유다.

분당파 영입을 위해 자리를 남겨둬야 하고 그 때 상황을 보고 개편해도 늦지 않는 만큼 적전분열의 우 (愚) 를 범할 필요가 없다는 얘기다.

복수대표 등 집단지도체제가 거론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따라서 정기국회 직후인 연말을 조심스럽게 거론하고 있다.

한나라당 전당대회 3일후 정기국회가 열리므로 조기개편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계산이다.

그때 가면 정계개편도 대충 정리단계에 접어들 것이고 당헌개정, 임시전당대회 소집에 따른 시간적 여유도 고려하고 있다.

또 현재 추진중인 단기개혁이 마무리되면 제기될 내각과 청와대 개편도 염두에 두고 있다.

다만 선출방식은 경선과 추대로 양분돼 있어 의견조율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지도체제 개편 논쟁은 다음주 趙대행의 金대통령 주례보고에서 결말이 날 전망이다.

하지만 동교동계가 金대통령과 무언의 교감을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빨라야 연말이 될 것이란 관측이 현재로선 우세하다.

문일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