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찬안기부장]“간첩 2명 북한 도주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동해안 침투 무장간첩은 3인1조며, 시체로 발견된 간첩 외에 잔당 (殘黨) 2명은 북한으로 비상 복귀중인 것으로 관계당국과 군은 파악하고 있다.

이종찬 (李鍾贊) 안기부장은 13일 국회정보위에서 "간첩 3명이 해안에 접근한 상태에서 사고를 당했을 경우 사망한 간첩 외에 나머지 2명은 해안으로 상륙, 육상 도주중일 가능성이 가장 크다" 고 밝혔다.

李부장은 "간첩임무는 요인 또는 고정간첩 대동 (帶同) 복귀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면서 "사망 간첩이 휴대했던 산소통 호흡기 3개중 양 손목에 끼고있었던 2개는 대동복귀하는 간첩용으로 추정된다" 고 설명했다.

군당국은 내륙침투에 대비한 수색작전을 강화하고 있다.

이날 미국 방문중 급거 귀국한 천용택 (千容宅) 국방부장관은 "앞으로 우리 영해에서 북한 잠수함.군함이 출현하면 평시 작전권을 발동, 즉각 나포하거나 공격하겠다" 고 강조했다.

유엔사는 북한측과 비서장급 접촉을 갖고 북한측의 사과와 재발방지를 요구했다.

◇ 3인1조 = 국방부 당국자는 "무장간첩은 속초 잠수정 때와 같이 노동당 작전부 313연락소 소속" 이라며 "3인1조로 침투한 것으로 잠정 결론내렸다" 고 밝혔다.

그는 침투인원을 3명으로 보는 것과 관련, "수중추진기는 3명이상 탈 경우 연결 로프를 추가하도록 돼있으나 로프가 발견되지 않았고, 산소통에 연결된 호스가 3개며 침투조는 통상 3인 1개조로 편성된다" 고 설명했다.

◇ 수색작전 = 군당국은 해안도로 등에서 검문검색을 강화하는 한편 매봉산 등 인근 산악도로와 해안을 집중 수색했으나 추가 침투흔적은 발견하지 못했다.

또 잔당이 해상 도주로를 통해 잠수정이나 공작 모선으로 복귀하는 것을 막기위해 대잠 (對潛) 헬기와 P - 3C 대잠 초계기.구축함.고속정 등을 동원한 작전을 계속했다.

◇ 한.미 작전 공조 = 김진호 (金辰浩) 합참의장과 틸럴리 주한 연합사령관은 한.미군사위원회 상설회의 (MCM) 를 열고 이번 작전을 포함, 북한의 국지 도발시 미군 전력을 적절하게 지원하고 대잠 (對潛) 경계협조 체제를 강화키로 했다.

그러나 미군지원은 장비동원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한 미군동원 부분에 대해서는 구체적 논의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 16일에 유엔사.북한 장성급회담에서 강력한 항의를 전달키로 했다.

◇ 수중추진기 = 이종찬 안기부장은 이번에 발견된 침투용 수중추진기가 속초앞 침투 잠수정에도 장착돼 있었다고 밝혔다.

李부장은 "이번에 발견된 수중추진기는 흑색, 속초침투 잠수정 내의 것은 회색이라는 점만 다를 뿐 동일한 장비" 라고 말했다.

군은 이 추진기를 지난 2일 잠수정 해체과정에서 발견했다고 말했다.

특별취재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