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비방 난무…왜들 이러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흑색선전물의 경우 실수만 하지 않으면 '꼬리' 가 잡히지 않고 일단 선거구에 소문만 나면 기정사실화되는 점을 노려 손쉬운 공격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비방유인물 대부분은 출처가 드러나지 않고 있다. 선관위는 지금까지 6.4 선거전에 뿌려진 2백여건의 비방유인물 가운데 17건만 유포자를 찾아냈을 정도다.

이번 선거에선 인터넷.PC통신을 이용한 얼굴없는 비방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컴퓨터통신망에만 들어가면 자신의 글을 마음대로 올릴 수 있기 때문에 각 후보진영이 상대를 공격하는 효과적인 '창구' 로 이를 활용하고 있다.

일부 후보진영은 PC통신 전담자를 두고 조직적인 비방전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거짓.비방 선전이 뜨면 PC통신 회사측에서 자체 삭제할 수 있다.

하지만 '명백한' 비방 목적이 아니면 내용을 없애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게 통신업계의 입장이다. 사용자번호 등도 다른 사람의 명의를 차용.도용하는 경우가 많아 수사망도 피해갈 수 있다.

이규연.정용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