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말 대표 사퇴 논의된 적 없다” 한발 빼는 원희룡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박희태 대표님은 6월 말 사퇴를 전혀 말씀하신 적이 없습니다.”

[뉴시스]

원희룡(3선·서울 양천갑·사진) 한나라당 쇄신특위 위원장은 10일 오후 기자회견을 자청해 이같이 말했다. 이정현 의원을 포함한 쇄신위 내 친박근혜계 의원들이 “당헌 파괴적 발상”이라고 비판한 ‘화합형 대표 추대론’ 주장도 거둬들였다. 그러면서 “쇄신위에서 전혀 논의된 바도 없고, 최고위에 보고한 일도 없다”고 해명했다. 앞서 박희태 대표는 이날 오전 “저는 화합형 대표 추대론을 얘기한 적도 없고, 6월 말까지 어떻게(사퇴) 한다고 말한 적도 없다”고 말했다. 원 위원장의 쇄신특위를 겨냥해 한 말이다.

‘원조 소장파’로 꼽히는 원 위원장이 곤혹스러운 처지에 빠졌다. 쇄신의 전권을 위임받아 쇄신위를 떠맡았지만 현재 그의 ‘성적표’는 저조하다. 친이명박-친박근혜계 사이의 이견을 조율하지 못한 게 가장 크다. 이 과정에서 ‘화합형 대표 추대’ ‘박희태 대표의 조건부 사퇴’ 등이 거론됐지만 이마저 “원 위원장 스스로 쇄신위 전체 의견으로 조율되지 않은 내용을 공개해 자충수를 둔 측면도 있다”(대표실 관계자)는 비판을 받았다.

‘6월 말 사퇴’ ‘화합형 대표 추대론’의 진원지는 원 위원장이다. 그는 8일 브리핑에서 “쇄신위가 6월 말까지 단일안을 만들어 오면 최고위가 전폭 수용키로 했다. (사퇴 요구에 대한) 조건부 수용”이라고 말했었다. 또 박근혜 전 대표를 염두에 둔 ‘대표 추대론’에 대해서 “쇄신위의 결론은 아니지만 의제의 하나로 (최고위에) 소개됐던 건 맞다”고 했다. 그러다 이틀 만에 없던 일로 거둬들인 것이다. 또 친이계 정태근 의원과 친박계 이정현 의원 사이에 조기 전당대회 일정과 국정쇄신 중 우선순위를 두고 논쟁이 벌어지다 이 의원이 사퇴하는 일까지 생겼다. 이 같은 쇄신위의 내홍에 대해 수도권 재선 의원은 “쇄신위가 6월 말까지 단일안을 만들지는 전적으로 원 위원장의 정치력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정효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