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3회 삼성화재배 세계바둑오픈] 천재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10면

'제13회 삼성화재배 세계바둑오픈'

<결승 2국>
○·이세돌 9단(1승) ●·쿵제 7단(1패)

제6보(43~49)=휴직 선언을 한 이세돌 9단을 놓고 중국도 시끄럽다. 특히 구리 9단은 “이세돌은 천재지만 나는 아니다”고 말해 묘한 여운을 남긴다. 세계 랭킹을 매기자면 세계대회 5관왕인 구리 자신이 1위일 것은 자명한데도 그는 재능에 관한 한 이세돌을 따라갈 수 없노라고 고백하고 있다. 백△로 공격하자 43으로 붙인다. 43은 흑의 권리고 44의 후퇴는 정수. ‘참고도1’처럼 반발하면 흑2, 4로 두기만 해도 백은 응수가 없다. 여기에서가 기로다. 우선 A로 막는 수. 이곳은 실리로도 크지만 쌍방 근거의 요소라서 대단한 가치를 지닌다. 이곳을 막으면 하변 흑이 미생이니까 뭔가를 두어야 한다. 반대로 흑에게 거꾸로 밀리면 백도 근거가 사라지고 B의 약점이 노출된다. 박영훈 9단은 “백은 막고 둘 수도 있다”고 말한다. 이창호 9단이라면 노타임으로 막았을지 모른다.

그러나 이세돌 9단의 손은 46 쪽으로 휙 날아간다. 공격이다. 확실함보다 불확실함을 즐기는 이세돌의 모험 가득한 승부 호흡이 그대로 전해진다. 장고 끝에 등장한 47은 쿵제가 모처럼 갈기를 세운 수. 그러나 47은 ‘참고도2’처럼 참아 두는 게 더 나았다고 한다. 48의 한 수가 일단 아팠다. 쿵제는 49로 꽉 받는 수가 성립되는지 여부를 놓고 오랜 시간을 보냈는데 과연 C의 절단은 없는 것일까.

박치문 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