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기 같은 로켓' 차세대 우주왕복선 `X-33'개발추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우주를 향한 인간의 도전은 로켓개발에 달려 있다.

우주여행의 실현가능성은 바로 '비행기' 같은 로켓을 언제까지 개발하느냐가 관건이기 때문이다.

최근 미국의 록히드 마틴사가 추진하고 있는 차세대 우주왕복선 'X - 33' 의 개발계획은 우주개발의 꿈을 한층 현실화시키고 있다.

마틴사는 99년 12월까지 X - 33을 15차례 이상 시험비행을 끝낸 다음 이보다 두 배 이상 큰 실용모델 '벤처스타' 를 만들 계획이다.

X - 33은 보조연료탱크나 외부로켓의 도움없이 자체 연료탱크와 로켓만으로 발사후 곧장 궤도에 도달할 수 있다.

선체는 초경량 복합재료로 만들어진다.

화물운송 비용도 파운드당 (4백50g) 1만달러인 현행 우주선의 10분의1 수준으로 낮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훨씬 싼 값으로 물자.여객의 우주수송이 가능해지고 우주공간을 활용한 위성통신.우주실험.탐사 및 관광등 우주개발의 현실성도 한층 높아지게 됐다.

미국의 마틴사외에도 일본의 JRS와 가와사키중공업은 대기권에서는 헬기처럼, 지구 저궤도상에선 로켓추진력을 이용해 지구궤도를 비행할 수 있는 미래형 우주민항기 개발을 시작했다.

또 미국 보잉사도 미국항공우주국 (NASA) 의 프로젝트인 '퓨처X' 에 참여하고 있다.

현재까지 비행기를 가장 닮은 로켓은 지난 2월 러시아 우주정거장 미르와 도킹을 한 후 귀항한 미국 우주왕복선 엔데버호. 하지만 이 우주왕복선은 고장이 잦은데다 연간 9회이상 발사하기 어렵고, 로켓 자체의 연료탱크가 부족해 우주선의 두배나 되는 보조연료탱크를 달고 비행을 하고 있다.

반쪽 우주선인 셈. 국내의 로켓개발은 88년부터 개발에 들어가 지난해에 지상 1백40㎞까지 오를 수 있는 과학2호를 발사했다.

2005년까지 액체연료를 사용하면서 인공위성을 발사시킬 수 있는 로켓 과학3호를 개발하는 것이 목표. 한국항공우주연구소 채연석 (蔡連錫) 박사는 "국내의 항공우주기술은 인공위성을 독자적으로 만들 수 있을 정도로 세계 10위권 수준" 이라며 "앞으로 우리는 이런 기술력을 바탕으로 경제성이 밝은 상업용 로켓개발에 도전하겠다" 고 밝혔다.

신용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