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풍공작]몇명이나 소환될까…안기부 거친 여당의원은 안부를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검찰이 '이대성 파일' 에 거명된 정치인들에 대한 본격적인 수사를 천명하고 나서 수사의 종착역이 과연 어디인지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검찰은 철저한 사실규명을 위해 문건에 거명된 관련자 전원에 대한 수사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여야의원 모두 수사대상이라는 얘기다.

반면 청와대 등 여권은 "조기수습은 물론 이번 파동이 정치쟁점으로 비화하는 것은 철저히 차단한다는 기존 방침에 아무런 변화가 없다" 고 거듭 강조하고 있다.

언뜻 보면 여권과 검찰의 입장이 상충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뒤집어 보면 이번 파동은 검찰의 수사로 종지부를 찍어야 한다는 여권 해법 (解法) 의 다른 표현이라고 할 수도 있다.

그동안 안기부쪽을 쳐다보며 다소 소극적이었던 검찰의 태도변화도 따지고 보면 여권의 조기수습 방침과 일맥상통하고 있다.

안기부가 지난 주말 '이대성 파일' 에 거명된 천용택 (千容宅) 국방장관과 국민회의 박상규 (朴尙奎).정동영.김홍일 (金弘一) 의원 등 여권 관계자 4명에 대해 전격적인 조사를 벌인 것도 같은 맥락이다.

따라서 안기부가 여권관계자들에 대해 "별다른 혐의점이 없음" 이라는 조사결과를 검찰에 넘기면 검찰이 이들을 다시 소환하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문제는 한나라당 의원들이다.

문건에 등장한 정재문의원은 이미 안기부로부터 두차례나 조사를 받긴 했지만 최근들어 鄭의원과 북한 고위관계자간 베이징 극비접촉을 주선한 김양일씨와 鄭의원의 배후에 대한 새로운 혐의들이 포착됐기 때문이다.

따라서 鄭의원을 포함, 아직 안기부 수사를 받지 않은 야권 인사들에 대해선 검찰이 어떤 형식으로든 조사를 벌일 것임이 분명하다.

하지만 여권 관계자들은 "정치인들에 대한 검찰의 조사가 이뤄지더라도 사법처리로 이어질 가능성은 작을 것" 이라 전하고 있다.

검찰과 안기부의 조사는 정치인들의 혐의를 벗겨주는 게 주안점임을 유의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문일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