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원가 공개 결국 절충하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열린우리당이 논란을 빚어온 아파트 분양 원가 문제에 대해 총선 공약인 '원가 공개'와 정부안인 '원가 연동제(일종의 분양가 상한제)'를 절충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열린우리당은 12일 국회에서 건설교통부.시민단체 등이 참여한 가운데 이 문제에 대한 공청회를 열었다.

홍재형 정책위의장은 "(원가 공개 찬반 입장) 양쪽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접점을 찾기 위해 노력하겠다"며 "이번 주 내에 당론을 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공청회 도중 자리를 뜨며 기자에게 "전용면적 25.7평 이하의 주택에 대해 원가 공개 개념을 많이 반영하는 방안이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자로 나선 박상돈 의원도 "기업의 노하우를 노출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건축비를 공개할 수 있는 거 아니냐"고 말했다.

그러나 철저한 원가 공개를 요구하는 시민단체와 연동제를 주장하는 건교부는 공청회 내내 평행선을 달렸다. 건교부 권도엽 주택국장은 "원가 공개는 그 효과가 불확실한데다 집값 상승만 부추길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공공택지를 분양받은 전용면적 25.7평 이하 주택은 원가연동제를, 25.7평 이상은 택지 채권입찰제를 실시하면 된다"고 말했다. 반면 박완기 경실련 시민감시국장은 "주공 등 공공아파트의 분양 원가 공개는 물론 공공택지를 싸게 공급받은 민간 건설업체의 분양 원가 공개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열린우리당 핵심 관계자는 "원가 공개나 연동제 중 어느 하나로 결정이 날 경우 당.정부 가운데 한쪽은 치명상을 입을 수밖에 없다"며 "결국 절충안으로 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다른 관계자는 "절충안이란 것이 어느 쪽도 만족시키지 못하고 또다시 욕이나 먹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우려했다.

김선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