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풍 미스테리]정치권 파장…야당, 대통령 색깔론 거론하며 맞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북풍공작과 관련한 대북 (對北) 커넥션 파문이 정치권을 바짝 긴장시키고 있다.

정쟁중지 대타협으로 북풍 (北風) 국정조사가 연기되면서 사그라지는가 싶던 북풍공방은 전혀 다른 국면을 맞고 있다.

국민회의 정대철 (鄭大哲) 부총재 등은 "대선 때 구 (舊) 여권인사들이 북풍공작에 관여했다는 내용이 문건증거로 확인되고 있다" 며 정치권 개입을 주장했다.

국민회의.자민련의 대응태세에는 미묘한 차이가 있다.

국민회의는 대북커넥션에 대한 언급을 자제하면서 "북풍수사는 사정 (司正) 당국의 수사에 맡겨야 한다" 고 조심스런 입장을 보였다.

물론 문제삼지 않겠다는 뜻은 아닌 것 같다.

조세형 (趙世衡) 총재권한대행은 "사안의 피해자인 우리당이 이 문제에 대해 발언하는 게 정치적 오해를 살 수 있다" 고 말했다.

자민련은 보다 공세적인 자세다.

변웅전 (邊雄田) 대변인은 "선거에 이기기 위해 적과의 동침도 서슴지 않는 위험천만한 발상" 이라며 "사건의 전모를 철저히 밝혀 엄중히 의법 조치해야 할 것" 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일부 의원들이 공작개입 의혹을 받고있는 한나라당은 펄쩍 뛰고 있다.

주요당직자회의에서는 대책을 논의한 끝에 대북커넥션 파문을 '야당 파괴공작' 으로 규정했다.

또 철저한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맞불작전으로 맞서기로 했다는 것이 한나라당측의 설명이다.

맹형규 (孟亨奎) 대변인은 "대북 정보라인을 모두 노출시키고 정보기관의 기능마비를 감수하면서까지 정치적 목표를 달성하려는 시도에 전율을 느낀다" 고 여권을 비난했다.

孟대변인은 "극비문서 파문의 본질과 한나라당 연계설을 흘리는 의도에 대해 한점 의혹없이 진상을 조사하라" 며 철저한 진상규명을 요구했다.

이러한 역공세의 배경에는 "가만히 앉아 당할 순 없다" 는 위기감이 반영된 것이다.

한나라당은 일각에선 여권내부의 필요에 따른 파문확대로 보기도 한다.

한나라당의 한 의원은 김대중대통령에 대한 색깔시비가 '공작' 의 결과였음을 입증시켜 이에 대한 부담을 던 뒤 본격적으로 대북 유화책을 추진하기 위한 사전 정지작업이라는 것이다.

여기에 안기부의 대대적 인적개편을 노린 두가지의 포석에서 여권이 이번 사태를 몰고가고 있다고 이 의원은 분석했다.

서승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