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필 총리서리체제]여권 정국 구상…각개격파식 영입등 추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여권에 의한 정계개편 시도가 불가피한 상황이 왔다.

국회의 여소야대 (與小野大) 구조를 깨기 위한 작업이 곧 가시화할 것 같다.

총리임명동의가 좌절될 경우 예상돼온 수순이다.

지금까지 여권에서 이 문제가 공론화한 적은 없다.

대선패배 이후 계파간 갈등이 첨예해진 한나라당의 자가분열로 자연스런 정계개편이 이뤄질 것으로 봤다.

그러나 상황이 급변했다.

노사정 (勞使政) 합의 관련법과 정부조직법.인사청문회법 등을 처리하며 곤욕을 치른 2월 임시국회에 이어 새 정부 출발 자체가 발목 잡히는 뼈아픈 낭패를 당했기 때문이다.

여권은 일단 김종필총리서리 체제로 내각을 출범시키더라도 金총리서리에 대한 임명동의절차는 빠른 시일내에 다시 거쳐야 한다.

당장 야권으로부터 위헌시비가 일고있다.

안정의석 확보를 못하면 2일의 상황은 되풀이된다.

이후에도 추경예산 심의가 곧 닥치고 정치권 구조개혁방안도 지방선거 이전에 처리해야 한다.

때문에 2일 국민회의.자민련 양당 모두에서 "이러다간 아무 일도 못한다" 는 의미심장한 말들이 거침없이 나왔다.

"이탈할 한나라당 의원들이 꽤 있다" 는 말도 있었다.

전당대회를 거치면서 내분이 커질 한나라당에 동요를 일으키면 얼마간씩 영입이 가능하다는 기대다.

서울과 수도권지역 의원들은 국민회의 쪽으로, 충청권과 경북지역 의원들은 자민련 쪽으로 오지 않겠느냐는 분석을 하고 있다.

야당 생활에 비관적인 '만년 여당' 민정계 출신들이 주대상이 되리라는 전망. 국민회의와 가까운 민주계도 당권에서 멀어질 경우 흔들릴 것으로 본다.

영입전략은 이들을 상대로 한 각개격파식 접근이 주종이 될 것 같다.

야당 의원들을 상대로 다시 물밑 교섭이 진행될 전망이다.

김석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