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임한 김영삼 전대통령 뭐하고 지낼까…조깅·교회 안가고 칩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YS의 퇴임대통령 생활은 당분간 상도동 자택 칩거다.

일상생활 패턴도 5년전의 그것과는 다를 것이라고 한다.

지난해 그만둔 새벽 조깅은 일정표에서 제외된다.

집안에 들여놓은 '러닝 머신' 으로 조깅을 대신한다.

또 부인 손명순 (孫命順) 여사와 함께 집 주변을 산책하는 것으로 건강을 관리한다는 것이다.

金대통령 내외는 과거 나갔던 충현교회도 찾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

지난해말 교회 장로직에서 정년 (70세) 으로 물러났기 때문이다.

金대통령은 "퇴임후 정치활동은 전혀 생각하지 않고 있다" 고 말한 바 있다.

그는 이 다짐을 일단 지킬 것 같다.

집밖에 사무실을 두지 않기로 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다만 그의 밑에서 장관.청와대 참모를 지냈던 사람들의 초청 자리에는 참석을 마다하지 않고, 친분있는 정치인들이 찾아올 때는 물리치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그가 가장 신경써야 할 것은 역시 '정치' 같다.

새 정부에서 경제청문회가 열리고 '문민정부' 의 과 (過)에 대한 이런 저런 얘기들이 나올 경우에 대비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측근들은 벌써 김영삼대통령의 청문회 출석상황이 도래하거나 문민정부에서 감춰졌던 비리 등 악재 (惡材)가 터질까봐 가슴 졸이는 실정이다.

그는 '전직대통령 예우에 관한 법률' 에 따라 각종 예우를 받게 된다.

앞으로 7년동안 대통령 경호실로부터 경호를 받으며 연금 (대통령 기본급의 95%인 3백82만5천원) 을 포함, 예우수당.차량지원비 등으로 매달 평균 1천80만원을 수령하게 된다.

그러나 측근들은 "경호원 야식비, 각종 경조사비 등 전직대통령의 품위를 유지하기 위해선 이 이상의 돈이 필요하나 재임중 정치자금을 한푼도 받지 않은 金대통령에게 큰 돈이 없어 고민" 이라고 말한다.

퇴임대통령은 1급 1명, 2급 2명 등의 별정직 공무원을 비서관으로 둘 수 있는데 민주계 출신인 청와대 김기수 전수행실장과 표양호 (表良浩).김상봉 (金相鳳) 전 비서관 등 3명이 YS를 모시게 된다.

이상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