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당선자, 군수뇌부 전면개편…취임직후 단행 동요 최소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당선자는 합참의장을 포함한 육.해.공군 지휘부 등 군 수뇌부에 대한 전면적인 개편을 조기 단행할 방침인 것으로 21일 알려졌다.

군 수뇌부 인사에는 한미연합사 부사령관.군정보기관장 등도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에 따른 후속인사 등이 있을 예정이어서 군에 대대적인 인사개편이 예고되고 있다.

군 조기개편은 金당선자의 국군통수권을 확립하고 개편설 등으로 인한 군 내부의 동요를 최소화하기 위해 단행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김동신 (金東信) 연합사부사령관이 군내 다른 요직에 기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4성 장군은 물론 군단장급을 포함한 후속 연쇄 인사폭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군 개편은 金당선자가 천용택 (千容宅) 국민회의의원과 장성 (張城) 비상기획위원장 등 국방장관으로 꼽는 인물중 어느 한명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달라지지만 전면적인 교체방침에는 변화가 없을 것으로 알려졌다.

金당선자의 핵심 측근은 군 수뇌부 개편시기와 관련, "대통령 취임 직후 단행할 방침이며 늦어도 보름을 넘기지 않을 것" 이라고 말해 3월 초순이 유력하다.

김영삼 (金泳三) 대통령의 경우도 취임 2주만인 93년 3월8일 김진영 (金振永) 육군참모총장과 서완수 (徐完秀) 기무사령관을 전격 경질하는 등 3군 수뇌부에 대한 전면적 인사를 단행한 바 있다.

이 관계자는 "대개의 군 수뇌부 임기가 7개월 이내여서 임기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면서 "다만 1년여 남은 해군 참모총장에 대해 金당선자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는 확실치 않다" 고 전했다.

다른 관계자는 "군 최고 통수권자가 바뀐 만큼 군 개편은 불가피하며 잔여 임기에 연연할 경우 군의 혼란이 가중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감안해 조기개편 결정을 내렸다" 고 설명했다.

그는 "金당선자는 여러 채널의 보고를 통해 고위 군장성의 역량과 군내 평가에 대해 상세히 파악하고 있어 군 개편에는 문제가 없다" 면서 "군 수뇌부에 대한 조기개편으로 안보공백도 최소화될 것" 이라고 말했다.

다른 핵심 관계자는 군 수뇌부에 대한 대대적 개편인사와 함께 군수조달 등 직제.운영에서 문제점이 지적된 부문에 대한 대대적 인사.조직 개편도 단행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金당선자가 현정부에서 철저히 배제된 하나회 출신 문제에 대해 고심중" 이라는 말로 하나회 출신 장교들에 대한 구제문제가 검토되고 있음을 암시했다.

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