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당선자, "대기업 계열사 3∼4개로,나머지는 정리" 강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당선자는 17일 "50~60개씩 문어발식 기업확장을 해온 대기업들은 3~4개, 많아도 5~6개의 핵심기업을 빼고 나머지는 정리해야 한다" 고 강조했다.

金당선자는 여의도 중소기업회관에서 열린 국민회의 당 지도부.국회의원 세미나에 참석, 이같이 말했다.

金당선자는 대기업 정리에 대해 "이런 일은 은행들이 융자의 조건으로 삼기 때문에 (대기업들이) 수용할 수밖에 없을 것" 이라고 전망했다.

金당선자는 또 "기업의 대주주.경영자들이 법률에도 없는 회장이라는 자리를 차지하고 대표이사를 지배해 왔으나 이들이 기업경영에 책임지도록 기업구조를 조정하겠다" 고 다짐했다.

金당선자는 이어 "10대, 30대 기업에 들지 못해도 흑자를 내고 외화를 벌어들이는 기업은 애국자로 대하겠지만 그렇지 않으면 도와줄 수 없고 도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며 "만일 그런 기업이 망하지 않으면 국민부담만 된다" 고 지적했다.

정부산하기관 문제와 관련, 金당선자는 "이는 우리경제의 큰 문제로 새 정부의 조직개편에 맞춰 철저하고 과감하게 민영화할 것" 이라며 "안되면 기업의 경영논리를 도입해 국민부담을 주는 기관은 개선하거나 도태시킬 계획" 이라고 밝혔다.

金당선자는 "은행장 인사를 앞두고 우리는 당과 정부가 절대 개입하지 않고, 은행자율에 의해 결정하고, 스스로 경영에 책임을 질 것을 이미 천명했으며 이런 내용의 공문을 (은행에) 보냈다" 고 공개했다.

'3월 대란설 (大亂說)' 과 관련, 金당선자는 "중소기업에 대한 22조원의 채무를 6개월간 연장하도록 한 것은 내가 재정경제원장관에게 요청한 것이고, 조달청이 원자재 수입을 해 나눠주도록 하는 등 대비하고 있다" 고 밝혔다.

한편 金당선자는 정치자금 문제를 언급, "정치인들이 합법적으로 정치자금을 모금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돼야 하며 대통령으로서 공정하게 협조할 용의가 있다" 고 말했다.

남정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