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정부 첫 내각 인선]별정직 누가 채우나…42개부처 690개 알짜 많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당선자측 조직개편안에 따르면 새 정부의 장관급 자리는 28개. 17명의 국무위원과 안기부장.감사원장.예산기획처장.여성특별위원장.금융감독위원장.공정거래위원장 등 대통령과 총리실 산하의 자리가 여기에 속한다.

그러나 공동정권이 챙길 수 있는 자리는 이들 장.차관 자리 이외에도 여럿이다.

양당이 지난해 12월말 기준으로 확보한 '행정부 별정직 공무원 (1급상당부터 5급)' 현황에 따르면 42개 부처에 6백90명. 국민회의와 자민련의 중간당직자들은 이들 간부급 별정직에 잔뜩 눈독을 들이고 있다.

국민회의쪽에선 한 자리 차지하려는 '야당인' 들이 당선자 주변과 아태재단쪽을 두드리고 있다.

벌써 별정직 인선이 끝났다는 소문도 무성하다.

자민련도 내부적으로 당 잔류와 정부진출 당직자들을 가리는 작업이 진행중이다.

그러나 6백90명을 모두 새 정권 인사로 채우는 것은 불가능하다.

아무리 별정직이라도 전문성과 행정의 연속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 이중 2백명 정도가 양당 추천인사들에 의해 채워지리라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김대중당선자의 수석비서관 임명이 있기 전까지만 해도 자민련은 후보단일화 정신을 내세워 청와대 비서관도 자민련측에 할애해야 한다고 주장했었다.

강창희 (姜昌熙) 사무총장은 김중권 비서실장 내정자와 세번이나 접촉, 강력히 이 주장을 편 것으로 알려졌다.

金내정자는 이에 대해 "청와대 비서진만은 당선자가 직접 인선하겠다" 는 뜻을 분명히 밝혀 한때 갈등기류가 표출되기도 했다.

이같은 기류는 김종필 명예총재가 "청와대 인사는 대통령당선자의 고유 권한" 이라고 유권해석을 내려 정리됐다는 후문이다.

대신 총리실 별정직은 자민련이 독식하는 형태가 될 듯하다.

전영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