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버스요금인상도 고통분담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유가 폭등에 따른 적자운행을 이유로 대폭적인 요금인상을 요구해온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측이 요구가 관철되지 않을 경우 예정대로 26일 전면 운행중단에 들어간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에 따라 요금조정권을 갖고 있는 각 지방자치단체는 요금인상안을 마련해 버스조합측과 협의에 나서는 등 대책마련에 비상이 걸렸다.

서울시는 현재 4백30원인 일반버스요금을 최대 1백10원 올리는 조정방안을 즉각 발표했다.

우리는 버스업계의 주장대로 유가인상이라는 원가인상 요인이 발생한 만큼 버스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점은 인정한다.

그러나 그 폭과 시기는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우선 버스업계가 요구한 인상폭 1백50원은 과도하다.

지난 5월 버스요금이 인상된 후 경유값이 2배 이상 올랐다는 주장이지만 그것을 고스란히 요금에 전가한다면 시민들에게 너무 큰 부담을 준다는 사실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더구나 현재의 고 (高) 유가도 비정상적인 환율로 인해 나타난 현상으로 유동적이라는 점을 간과해선 안된다.

또 즉각적인 요금인상 조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시민들의 발을 묶겠다는 입장도 너무 이기적이다.

지금은 버스업계뿐 아니라 나라경제가 모두 어려운 상태다.

요금인상의 파급효과에도 특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요금인상이 불가피하더라도 가뜩이나 위축된 서민가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고통을 분담해야 할 것이다.

버스요금 인상을 결정하는데 원가요인만 고려해 요금에 직결시켜서는 안된다.

버스업계도 구조조정의 고통에 동참해야 한다.

경영적자를 줄이기 위한 비용절감 등 경영합리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점에선 버스업계도 예외일 수 없다.

정부나 자치단체도 각종 간접적인 지원정책을 통해 업계가 고통분담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도록 해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